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5월 28일 시작되어 총 1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마포구] 가정용 스마트팜 보급을 통한 건강한 식생활 확산 및 식량안보 기반 마련 대책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님의 의견정리2025.06.30
공감 2 | 공유 0 | 관심 1 | 추천 10 | 비추천 0 | 참여자(댓글)의견 2

1. 좋은 의견이라는 댓글
2. 좋은 생각이지만, 높은 스마트팜 가정용 기기에 관한 구매, 관리 지속가능한 운영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
►마포구 국민제안: 가정용 스마트팜 보급을 통한 건강한 식생활 확산 및 식량안보 기반 마련 대책
►현황 및 문제점

○ 가공식품 위주의 식습관 확산
○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증가로 간편식·배달음식 의존도 상승, 신선 채소 섭취 부족
   농산물 가격 불안정 및 공급 문제
○ 기후위기, 국제 정세 등으로 인해 신선 농산물의 수급 불안정 우려
    도시민과 농업 간 단절 심화
○ 농업과 일상생활이 분리되면서 도시민의 농업 체험 기회 부족
○ 특히 아이들은 채소의 성장 과정을 모르는 경우도 다수

 
►개선방안
○ 소형 스마트팜(가정용 자동 재배기) 보급 확대
  - 실내 설치가 가능한 수경재배 기반 스마트팜을 정부·지자체 보조사업 형태로 지원
  - 고령자·1인가구·영유아 가정 및 건강취약계층 우선 대상
○ 학교·복지관과 연계한 식생활 교육 강화
  - 스마트팜을 통한 채소 키우기 체험과 요리 교육 병행
  -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을 통해 재배 정보와 레시피 공유
○ 스마트팜과 건강관리 연계 플랫폼 구축
  - 스마트팜 수확량, 채소 종류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가능
  - 헬스케어 앱·건강보험공단 연계를 통해 건강지표와 식단 연동
○ 지속 가능한 도시농업 생태계 조성
  - 아파트, 마을 단위로 공동 스마트팜 설치 지원
  - 스마트팜 활용 마을 공동체 활성화(경연대회, 체험행사 등)

 
►기대효과
○ 가정 내 신선 식재료 자급률 향상으로 건강한 식단 정착
○ 도시농업 활성화로 농업에 대한 이해도 및 관심 증가
○ 유아~노인까지 전 세대가 식생활과 건강에 주체적으로 참여
○ 기후위기·식량위기 대응력 강화 및 지속가능한 먹거리 체계 구축

►해당 안건 탄생 과정 시 의견
공감 1, 관심 1, 추천 4, 의견 3
의견내용

1) 좋은생각같은데, 지원에 따른 재원은 어디서 마련하죠?
2) 전기가 많이 들 것 같습니다.
3) 스마트팜으로 집에서도 신선 채소 키우고, 모두 건강한 도시농업 라이프 함께 만들어요!
 
►2025. 6. 27.(금)까지 해당 제안을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가정용 스마트팜 지원에 따른 재원 마련 및 기준, 전기문제 등을 중점으로 고견 부탁드립니다.


►마포구민 및 해당 제안에 관심있는 직원들의 다양한 의견 및 개선방안,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토론 및 제안해주세요!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