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3년 11월 10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도심 대형 수목 관리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도심 대형 수목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현황

ㅇ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호우 및 대형 태풍 등으로 매년 평균 5천 그루 이상의 수목 쓰러짐 및 부러짐 사고 발생

   * 전국에 식재 후 35년 이상 대형수목 100만그루 이상 존재
  - 도심  내 인공구조물에 의한 생육환경 불량, 수목 부후, 공동 발생 등으로 넘어지거나 부러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 관리방안 예시

ㅇ 도심 수목 돌보미 시민참여프로그램 운영
도심 수목 수종갱신, 가지치기로 수관폭 줄이기

ㅇ 도심 수목 비파괴 정밀안전진단사업 실시

□ 관리방안 의견 조사 결과(11.10~11.19)

ㅇ 수목 돌보미 시민참여프로그램, 수종갱신, 가지치기로 수관폭 줄이기, 비파괴 정밀안전진단
    사업 등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재난 발생 시 피해 최소화가 중요함
도심 수목은 크게 키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며, 매년 전문가들이 가지치기를 실시하여 멋진 수형을 만들고
    수고(나무 높이)를 줄이는 작업 또한 실시해야함


□ 우수 방안 의견 조사(11.20~11.23)
ㅇ 많은 예산이 필요한 비파괴 정밀안전진단사업, 사회적 합의(주민, 시민단체 동의)가 필요한 수종갱신 또는
    가지치기 등 많은 걸림돌이 있는데, 보다 효율적인 관리방법이 무엇이 있을까요? 혹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이 있을까요?

 
 
  • 참여기간 : 2023-11-20~2023-11-23
  • 관련주제 : 농림·해양·산림>산림·산촌
  • 그 : #수목 #도심 #안전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