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3년 09월 11일 시작되어 총 19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문화재청 국가유산연감 2023 표지 주제 선호도 조사 결과
이 생각은 "문화재청 문화재연감 2023 표지 주제 선호도 조사"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지난 국민생각함 게시글에서 참여해주신 문화재연감 2022 표지 선호도 조사의 투표결과를 안내해드립니다!

< 문화재연감 2023 표지 선호도 조사 >

1위.  한국의 탈춤 (61.5%)
2위.  얼굴무늬 수막새 (26.9%)
3위.  익산 미륵사지 사리장엄구 (7.7%)
4위.  기타(3.8%)


투표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투표결과는 국가유산연감 2023 표지 제작 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문화재청을 위한 소중한 의견, 격려, 응원 등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000
「문화재수리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추진 관련 의견 수렴

안녕하세요 문화재청에서는 급격한 문화재수리 인력 고령화와 신규인력 유입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재수리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ㅇ 연구 배경 및 목적   -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문화재수리 기법이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고, 문화재수리 인력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부족하여 신규인력 유입이 부족한 실정임.     * 드잡이공, 석공 등 9개 종목 50대 이상 비중 90%, 전체 기능인 평균연령 약 57세     * 급속한 기능인 고령화 추세 방치시 문화재수리 장인층이 사라지게 되어, 수리기법의 전승과 지속적인 문화재수리와 관리에 난관 발생이 예상됨.   - 문화재수리 환경의 변화와 흐름을 분석하여 현실적인 기능인 육성 정책 과제를 발굴,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재수리 전통기법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함. ㅇ 주요 연구내용   - 기능인 종목별 근로환경 실태조사 및 분석   - 해외 및 타기관 인력 육성 정책사례 조사   - 기능인 육성을 위한 다각적 지원방안 강구   - 기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안) 수립 등 더 나은 발전 방향과 연구 조사 추진을 위해 국민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총0명 참여
「 문화재수리 국제기준 조사 및 법령 정비방안 연구」용역 관련 국민의견 수렴

안녕하세요?  문화재청에서는 국내외 문화재정책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문화재수리 체계를 고도화하고자 「 문화재수리 국제기준 조사 및 법령 정비방안  연구」용역 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최근의 문화재 정책방향 주요내용    - (문화유산헌장 개정) 다양한 가치의 균형과 시대정신이 반영될수 있도록 문화유산의 의미와 모습 및 가치, 보존의 방향성, 새로운 가치 창출과 전승을 위한  우리의 책임과 의무 명시('20.12월)   - (국가유산체제 도입) 기존 문화재를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분류하고 이를 '국가유산'으로 총칭, 국가유산정책의 기본사항과 국가의 책무를 규정하기 위하여 「국가유산기본법」을 제정하고 기존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은  「국가유산수리 등에 관한 법률」로 개정('24.5.17.시행예정)   - (문화유산 가치보존을 위한 한국원칙 수립) 문화재보존에 관한 학문적, 제도적 고찰과 해외사례조사연구를 통해 국내에 맞는 문화재보존의 원칙과 개념 정립('22.12월) 이번 연구의 주요내용은 1.국내문화재수리법령 및 현황 분석, 2.국제기준 조사 및 시사점 도출, 3.향후 문화재수리법령 정비방안 마련 등으로, 연구결과는 추후 문화재수리 관계법령의 정비 및 제도개선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문화재청은 보다 나은 연구결과 도출을 위하여 국민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과 제안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문화재 가치보존과 수리품질 향상을 위한 아이디어가 있으시다면, 기탄없이 자유로운 의견제출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총0명 참여
「문화재수리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추진 관련 의견 수렴

안녕하세요 문화재청에서는 급격한 문화재수리 인력 고령화와 신규인력 유입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재수리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ㅇ 연구 배경 및 목적   - 급격한 산업화 과정에서 문화재수리 기법이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고, 문화재수리 인력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부족하여 신규인력 유입이 부족한 실정임.     * 드잡이공, 석공 등 9개 종목 50대 이상 비중 90%, 전체 기능인 평균연령 약 57세     * 급속한 기능인 고령화 추세 방치시 문화재수리 장인층이 사라지게 되어, 수리기법의 전승과 지속적인 문화재수리와 관리에 난관 발생이 예상됨.   - 문화재수리 환경의 변화와 흐름을 분석하여 현실적인 기능인 육성 정책 과제를 발굴,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재수리 전통기법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함. ㅇ 주요 연구내용   - 기능인 종목별 근로환경 실태조사 및 분석   - 해외 및 타기관 인력 육성 정책사례 조사   - 기능인 육성을 위한 다각적 지원방안 강구   - 기능인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안) 수립 등 더 나은 발전 방향과 연구 조사 추진을 위해 국민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총0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