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3년 06월 29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체감형 지진·지진해일·화산활동 정보생산에 대한 국민 의견 수렴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기상청님의 의견정리2023.07.13
<국민의견 정리>
✔ 여러가지 영향을 고려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진 대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지진 현황 위주의 정보에서 국민체감형 정보를 생산해서 제공하는 것은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함.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길 바람
✔ 지역이나 인구, 시설 등에 따라 정보 산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을 알면서도 국민들을 위한 도전에 응원 보냄
기상청은 현재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현황 위주의 정보(발생시각, 위치 등)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발생한 튀르기예 대규모 지진 발생에 따른 국민 불안감 확산 및 재난 대응을 위하여 
지진발생 및 그 영향에 관한 다양한 분석정보와 맞춤형 영향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고자 합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기상청은,
<국민체감형 정보생산을 위한 핵심전략>
전략 현재 모습   개선 모습
① 맞춤형 지진 체감분석정보
    제공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 시·군·구 단위 지역별 대표되는 획일적인
   진도정보 제공
► 국민의 체감 정도가 고려되지 않은
   관측된 지진 발생현황 중심의 정보생산
► 거주 위치에 따라 국민이 실제로 체감하는
   지진동 정보 생산

► 확률적 여진 발생 예측정보 등 국민 체감형
   지진 분석정보의 실시간 생산
② 지진해일 체감분석정보
    생산을 위한 예측체계 고도화
► 한반도 지역에 대한 1km 해상도
   예측정보 생산
► 조석, 지형 등이 고려되지 않은
   지진해일 정보 생산
► 1km 미만의 고해상도 예측정보 생산
► 해안지형 및 총수위 등 해양환경을
   고려한 고해상도 예측정보 생산
③ 화산재해 위험도 평가 및 
    대응체계 강화
► 화산재해 위험에 따른 시나리오 미비
► 위성자료 중심의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초기자료만을 활용한 화산재 확산예측
   정보 생산
최적의 원격 및 지상 관측·분석기술 확보
화산재 규모·분포·이동경로 및 위험도 등을
   고려
위험지도 제작 및 예·특보 생산
④ 국민체감형 분석정보 대내외
    서비스를 위한 기반 구축
► 지진·지진해일·화산활동의 발생 및
   관측현황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제공
► 재해 현황의 관측과 그에 따른 경보에
   관한 제도적 기반 확보
► 국민과 관계기관의 신속한 재해 대응 지원
   확대를 위한 맞춤형 정보 제공
최적의 영향분석정보 제공체계 마련

위 4가지 핵심전략 추진을 통해서 국민체감형 정보생산을 위해 노력하고자 합니다.

이에 기상청이 본연의 기능을 갖고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내용을 추진하면 좋을지, 어떤 정보를 받아보고 싶으신지 국민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하오니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