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10월 18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ESS 화재 위험구역(Danger zone) 설정에 따른 대응 방안(발전)
 
ESS 화재 위험구역(Danger zone) 설정에 따른 대응 방안 관련하여 여러 직원들과 의논하고자 연구반원을 만들어 추진할 계획입니다.

연구내용할 내용은 아래와 같이 진행할 예정입니다.

 
□ ESS 화재 시 적응성 있는 장비 개발 및 활용
○ 고침윤성, 고발포성 소화약제 혼합된 소화용수 주입
휴대형 CAFS(Compressed Air From System) 침투 관창 사용
- 불활성 기포발생장치 활용(ESS 내부 소화용수로 침지 냉각 및 질식 소화)
○ 차수벽 내장형 방화포
- 소형 ESS시설 및 리튬이온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자동차 화재진압
- 질식작용과 주수 시 차수벽 형성으로 냉각과 화염, 열기 차단
□ ESS 화재 시 연소확대에 따른 급격한 폭발 대비 위험구역 전술
○ ESS 화재 위험구역(Danger zone) 설정
○ 각 위험구역에 따른 화재진압 전술 마련으로 안전한 진압 활동
○ 에너지저장장치 화재대응절차(안) 안전거리 기준 수립

혹시 추가로 연구해야할 사항이 있다면 많은 의견을 주시기 바랍니다. 연구시 참고토록하겠습니다.
 
  • 참여기간 : 2022-11-02~2022-11-16
  • 관련주제 : 공공질서 및 안전>소방·구조활동
  • 그 : #ESS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