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10월 07일 시작되어 총 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곤충단백질을 소재로 한 반려동물 사료 등 동애등에 활용에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곤충단백질을 소재로 한 반려동물 사료는 
많은 분들의 설문조사가 이루어 지지 않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들에게는 긍정적 선택이 높아
사료곤충을 활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뿐만 아니라
어분대체 축수산용 사료, 음식물 자원 처리, 퇴비화 등 다방면으로 발전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동물) 국내 시장은 2010년부터 연 20%대의 본격적 성장세를 보여 사료시장도 20201.7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과거 대비 고급화와 다양화, 세분화가 뚜렷해져 고단백질원으로 하이포알러제닉인 곤충의 프리미엄 사료 활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임

(
양어) 국내 사료시장은 2016년부터 배합사료로 전환됨에 따라 생사료와 어분을 대체할 자원으로 기호성과 단백질 소화율(65%75%)이 높은 사료용 곤충자원에 관심도가 증가되어 어종별 곤충을 활용한 완전 배합사료 개발 요구

* 어분 지속감소, 생사료 풀림현상으로 바다환경 오염, 해양자원 고갈 곤충 단백질 해답
* 단백질 원료 어류 소화율 비교 : 대두 및 옥수수분 45%, 닭 및 돼지분 44%, 어분 65%, 곤충 75%

(배합사료) 2014년 국내 가축사료 시장규모는 연간 약 102,000억 원 정도로 추정되며, 축종별 양돈 사료가 38.1%, 양계 사료가 24.8%, 비육우 사료가 22.2%, 낙농 및 기타 사료가 14.0%를 차지
곤충이 배합사료의 0.5%수준을 대체할 경우, 곤충활용 사료시장 규모는 600억 원 수준까지 성장 가능할 것으로 예상

* 곤충 사료원료 인증 획득 : 사료관리법 제2조의 단미사료 품목별 기준 및 규격에 동애등에 포함

(음식물 처리) 국내 음식물 폐자원 처리로 연간 20조원 이상 소모되는 비용을 동애등에로 절감 가능하며, 대량사육이 가능해 ’12년 해양투기 금지 이후 전 세계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음식물 처리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

* 동애등에 유충 500kg이 유기성폐자원 1톤 처리/ 1일

(퇴비화) 동애등에 활용 음식물 처리로 남게 되는 분변토는 친환경 퇴비자원의 역할로 작물별 적정 활용 연구가 선행된다면, 충북 유기농업과 연계된 자원 순환농업 생태계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비료공정규격 등록: 2015924일부터 동애등에분변토를 비료로 판매 가능
* 동애등에 분변은 염분 1% 이하로 안전, 지렁이 분변토와 동일하게 20kg()56000원 판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