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01월 03일 시작되어 총 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10개소로 확대 · 운영
여성가족부(장관 정영애)는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과 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해 3() 2022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이하 특화상담소)10개소로 확대운영한다고 밝혔다.
21년도 특화상담소를 운영한 7개 시도 중 6*를 재선정하였고 신규로 광주대전인천충북 지역을 추가 선정하였다.
*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북, 제주
 
특화상담소는 증가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지역 단위로 지원하고자 2021부터 시작된 시범사업으로 7개 시도가 운영한 바 있다.
 
디지털 환경에 전문성 있는 상담사(개소당 2)를 중심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심층 상담, 삭제 지원, 수사법률의료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 및 치유회복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올해 특화상담소를 통한 상담삭제지원연계 등 피해지원 건수6,703(11.19일 기준)으로, 코로나19 상황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치유회복 프로그램도 218건 지원했다.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상 유포불안을 호소하는 피해자가 많아 이에 대한 전문상담을 진행함과 동시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 즉시 삭제지원을 요청하고 피해자 맞춤 수사법률의료 연계를 지원했다.
또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주로 10~20대인 저연령층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피해자뿐 아니라 피해자의 보호자 대상으로도 치유회복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피해 지원의 효과성을 높였다.
 
 < 피해지원 사례 >

(통합(원스톱) 서비스 제공) 경북 권역 경찰청은 수사과정에서 피해자 A가 디지털성범죄를 피해를 입은 사실을 파악하고 A를 경북 특화상담소에 연계했. 특화상담소는 A와의 상담을 진행함과 동시에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지원센터에 유포니터링 및 삭제지원을 요청했고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의료기관에 연계지원했다. 또한, 피해자의 1심 재판에 신뢰관계인으로 동석하여 피해자의 진술에 도움을 주는 등 다각도로 지원했다.(경북 특화상담소)
(보호자와 함께하는 치유회복 프로그램) 미성년자 B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어 대구 특화상담소에 방문했다. 이 과정에서 B의 부모 C 또한 자녀의 피해 사실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대구 특화상담소는 피해자와 보호자가 함께하는 심리 치유회복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서로의 상황과 감정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BC 등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추후 집단 상담도 계획중이다.(대구 특화상담소)
 
’22년 특화상담소는 기존 7개 시도의 ’21년 운영 실적과 신규 신청 시도의 피해자 수요와 수행기관의 역량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특히, 인천과 부산자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전담 지원기관 이미 운영 중이거나 22년 운영 예정으로, 해당 도에 디지털 성범죄 특화 사업을 지원함으로써 특화상담소와 지자체 센터 등 피해자 지원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참여기간 : 2022-01-21~2022-01-24
  • 관련주제 : 보건·사회복지>사회복지일반
  • 그 : #디지털성범죄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