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2년 01월 03일 시작되어 총 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가족센터 정보, 우리동네약국에서 확인하세요
이 생각은 "가족센터 정보, 우리동네약국에서 확인하세요"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여성가족부와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가 지역 가족센터 이용 홍보를 위해 힘을 모은다. 여성가족부는 가족센터 대표 전화번호(1577-9337)가 안내된 스티커를 제작하고, 대한약사회는 오는 22일부터 전국 약 22,600개 지역 약국에 이를 배포 및 부착한다.
* 스티커 홍보 문구 : 단골약국은 가족건강지킴이, 가족센터는 가족행복지킴이(가족센터 대표번호 : 1577-9337)
< 가족센터 홍보 스티커 >
 가족센터
세로형(120×132mm) 가로형(120×85mm)
가족센터(기존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상담·교육·돌봄 등 지사회 가족에게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현재 전국 245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다.
가족센터는 예비부부 교육, 생애주기별 부모 교육 등 가족교육과 가족상담, 한부모·조손가족·다문화가족·맞벌이 등 다양한 가족 지원, 공동육아나눔터 및 아이돌봄 서비스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돌봄·문화·체육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한 곳에 모아 주민 접근성을 높이는 생활 사회기반시설(SOC) 복합화 사업을 통해 가족센터 시설 건립을 지원하고 있다.
* (센터 건립) ’173개소 ’2196개소 ’22108개소(누적치)
(준공) ’152개소 (서울 구로구, 경북 경주시), ’171개소 (부산 서구), ’201개소(서울 양천구)
한편, 여성가족부는 ‘22년부터 지역 가족센터를 통해 1인가구, 청소년부모,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 지원 사업 등을 신규 실시한다.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고독·고립감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최초로 생애주기별(청년·장년·노년) 사회관계망 지원 사업(12개 가족센터*)하고, 내년 시범운영 후 지역 수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서울 용산구, 부산광역시, 대구 서구·북구, 인천 중구, 광주 동구, 충북 청주시, 충남 공주시, 전남 광양시, 경북 포항시·문경시, 경남 양산시
양육자이며 동시에 성장기 청소년인 청소년부모*에게 양육 지원, 자립 등을 위한 통합사례관리 및 심리상담 등 서비스를 신규로 제공(93개 센터)하고, 저소득 청소년부모 가구에게는 아이돌봄서비스 정부 지원 비율을 90%(85%90%)까지 높이며 아동양육비 지원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 부모 모두 만 24세 이하인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 근거 신설(청소년복지지원법개정·시행, ’21.9)
아울러, 전문 청소년상담사가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의 정서 안정 및 진·취업 등을 안내하고, 읽기·셈하기 등 미취학아동 대상 습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사회포용 안전망 사업을 새로 실시(168 가족센터)한다.
 
  • 참여기간 : 2022-01-11~2022-01-13
  • 관련주제 : 보건·사회복지>보육 및 가정
  • 그 : #가족센터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