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4월 07일 시작되어 총 1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언어과학은 문화인가 과학인가? 정교한 과학과 축적된 철학 지식을 연구해야합니다.
이 생각은 "언어과학은 문화인가 과학인가?"에서 출발하였습니다.
훈민정음은 正音 소리의 표준 규정입니다. 
음성인시과 번역, 문자의 소리 변환 등등  
첨단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가는 최고의 과학은 지금 언어입니다. 

돌고래 침팬지와 사람이 다른 기능은 언어의 발전과 지식의 체계화 사전의 발전이죠. 
문학은 그런 사전의 형성과 지식의 체계화를 하여왔고 
삶의 아름다운 기록을 만들어 냅니다. 

과학은 그 언어의 본질을 이해하고 기술적 기반을 만들어 냅니다. 
문학적 관습적 언어 발전의 과정을 설명하고 기술적 개선의 여지를 발견합니다. 

인간 언어 발전은 
10만년전 구석기 인류를 빙하기의 위기에서 협상과 협력의 정보를 공유하는 
언어 지식의 신석기 인류로 만들어 냈읍니다.  협업과 마제석기 가죽 가공등의 분업이 일어납니다. 
구전 언어의 발전은 인류 공동체의 성장과 공유 작전의 무력을 만들어 냈읍니다. 
인류언어발생과기술발전단계
4천년전 문자가 출현하고
기록 문화는 2천년전에 체계화하고 
600년전 표음문자의 정책과 과학적 발명이 이루어졌읍니다. 
위대한 훈민정음이죠. 
100년전 한글맞춤법이 정립되고 인쇄가 보급되고 
50년전 자동화 정보화 되고 
20년전 모바일 혁명으로 쉽고 편리한 고도화된 지식의세상이 만들어 졌읍니다. 

언어는 과학이고 
과학적 정보 기반에서 급속히 발전합니다. 
훈민정음언어과학체계

훈민정음 언어 과학을 기반한 한국의 언어 생활은 
어떤 전문가들이 어떤 방향으로 연구하고 기술적 전략적 연구를 진행해야할까요? 

언어는 문학인가요? 과학 기술일까요?
국제공용 표준언어체계를 통한 한국어 세계화
한류 K-POP문화로 부각된 한국의 뛰어난 언어 문화 산업의 활로는 어디에 있을까요? 

희망찬 미래를 위한 언어연구 및 문화 혁신의 방향과 인재 육성 정책을 기대합니다.
  • 찬성찬성 : 1
  • 반대반대 : 0
  • 기타기타 : 0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