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9년 10월 31일 시작되어 총 2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출퇴근 시간 노인 무임승차에 대한 요금징수 방안

사진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2454172
 
 
안녕하세요, 저희는 서울여자대학교 시민과 정부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행정학과 학생들입니다. 출퇴근 시간 지하철을 이용해본 적이 있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지옥철으로 인해 고통받은 경험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저희는 이에 착안하여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제도에 접근하게 되었습니다.
 
-지하철 노인 무임 수송정책이란?




65세 이상 노인이 지하철(서울, 인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기타 경전철 등) 이용시 승차요금을 전액 무료로 이용하는 제도입니다. 198070세 이상의 대상에게 승차 금액의 절반을 지원해주는 제도로 시작하여 198465세 이상 전액 지원해주는 제도로 변경된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까지 동일하게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늘어나는 고령인구로 적자 규모가 점차 확대되면서 운임요금의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무임승차 대상(참고)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독립유공자
-민주유공자

 
-문제점
 
첫째, 출퇴근시간 지하철 혼잡과 포화로 인해 승객들의 불쾌감과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는 모두가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타박상과 호흡 곤란, 압사 등의 안전사고 문제까지 우려될 수준입니다.
 


단위: 억 원 (출처: 서울시의회)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에 대한 무임승차제도 이용자 중 노인 무임승차에 의한 적자발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무임 승객(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대상 중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의 비중은 빠르게 늘어나 전체 비중의 80%를 넘겼으며, 서울을 포함한 주요 6개 지자체에 관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무임승차로 인해 발생한 손실 금액이 약 5892억 원을 넘어섰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서울교통공사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서울 지하철 무임승차 인원 비율이 15%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1955년부터 1963년생인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연령대로 진입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추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대폭 증가할 전망이며, 2026년에는 도시철도 탑승자 5명 중 1명은 무임승차자인 고령인구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합니다



(자료: 통계청 정책자료)

65세 이상 인구가 202년 전체인구 중 15.6%에서 206041%까지 늘어날 것을 예측되고 하고 있으며, 이에 노인무임승차 손실액은 점차 늘어날 것입니다.




 무임승차 대상별 현황 : 노인의 무임승차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외 대중교통 정책과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대중교통 무임승차 정책 성찰
 
1. 세계 복지선진국을 포함한 어느 나라에서도 무차별적인 전액 무임승차를 허용하는 요금체계는 채택하고 있지 않으며, 우리나라만 유일무이하게 도입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2. 세계 주요도시의 노인 대중교통 할인제도의 대부분이 시간대별로 차이를 두거나 일정액을 할인하고 나머지는 이용자가 스스로 부담하게 하여 도덕적 해이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습니다.
 
3. 일부 국가는 소득을 고려한 차등 할인제도를 통해 계층간 형평성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노인교통요금 할인으로 인한 재정보전방식으로는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노인교통에 대한 할인요금을 보전해 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기관간, 계층간 적절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노인 무임승차 인식에 대해 저희가 직접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파악한 노인 무임승차제도의 인식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합니다




-개선방안


노인의 무임승차제도 동의 여부

노인의 무임승차제도 동의여부는 '동의하는 편'과 '매우동의'의 합이 60퍼센트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며, 노인들은 무임승차제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편입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반감을 사지 않고 충분히 납득할만한 정책을 펼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노인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발생이 나날이 늘어가고, 지하철이 혼잡하다는 문제점과 사회 취약계층인 노인 복지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절충안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합니다.
 
1. 노인무임승차 연령을 70세로 상향조정
2. 출퇴근시간에 한하여 정상 요금에서 일정액 할인된 요금 부과

 
, 기초 생활 수급자에 한하여 무료 복지카드를 발급하여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
 
 
노인 무임승차로 발생하는 적자에 대한 인식과 현행 무임승차제도의 개선 필요성은 이미 많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국민생각함을 통해 여러분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실적인 제도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발전된 대안을 도출해 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