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우리 부에서는 "농업 분야 디지털 기술 활용 관련 OECD 논의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국민생각함을 실시합니다. 동 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을 듣고자 하오니 많은 의견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ㅇ연구과제명 : 농업 분야 디지털 기술 활용 관련 OECD 논의 대응방안
ㅇ연구내용 : OECD에서 논의 중인 의제 관련 내용에 대한 국민들 인식 및 의견 파악 및 효과적 발전 방향 도출
ㅇ추진배경
- 최근 OECD 농업위원회에서 농업의 생산성,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 기술 활용이 주요 의제로 논의되고 있음
-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적 측면 뿐 아니라 환경질 개선, 민간 참여 확대, 데이터 수집 및 배분 관련 신뢰도 제고 등이 주요 이슈
- 이러한 국제논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논의 대응에 참고할 수 있는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 필요
※ 지금까지 의견 수렴 결과 농업 분야 디지털 기술 활용은 농촌지역 고령화, 청년 고용, 농업의 지속가능성 향상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의견 계속 부탁드립니다!
... 대표적인 산림국가로 치산녹화의 세계적 성공모델로 인정받음- 국토의 63%가 산림으로 세계평균(31%)의 2배, OECD 국가 중 4위- 지난 50년간 자원으로 활용가능한 나무의 양은 16배 이상 증가* * 산림 내 나무의 양(㎥/ha) : (’70년) 10 (’20년) : 165㎥/ha(OECD 평균인 131㎥/ha을 상회)- 산림산업의 생산규모는 연간 148.7조원으로 58만개의 일자리를 제공* 산림산업규모(’23) : ...
쌀은 대한민국 모든 국민의 주식입니다 아무리 농가소득보전이 식량주권의 보호취지와 맞닿아 있다지만 전 국민의 주식이 이렇게 갑자기 폭등하도록 방관하는건 바람직한 정부의 태도가 아니라고 봅니다 안그래도 OECD국중 음식물가 최상위권에 올라있는 나라인데 특정 이익집단의 방탄정책보다 국민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부터 우선적으로 챙겨야 하는거 아닌가요
... 많은 이슈가 해결이 안되고 있을까?전세계의 모든 나라들이 다 똑같을까?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OECD 평균 39%, 불신층은 44%스위스, 룩셈부르크, 핀랜드가 70% 이상 신뢰도를 보여주고 상위권은 대부분 스칸디나비안 국가들대한민국은 43%, 미국은 39%반면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는 평균 78%스위스등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공무원들이나 선출직들은 다시 그 자리를 맡는 ...
우리나라는 OECD평균 자살률 1위, 그리고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인 사회입니다. 타국에서 비슷한 방식으로 연구한 결과가 있지만 유난히 자살률이 높은 우리나라만의 특수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 됩니다.우리나라에서 공교육을 마친 경험에 비추어 청소년 자살의 원인에 학교폭력이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 생각됩니다.학교에서 교사들은 학교 폭력에 무감각합니다 ...
... 마음지킴이가 되어 또 다른 사람을 지킬 수 있는 사회적 순환 구조 실현."2. 사업 배경 및 필요성 사회문제 현황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특히 청소년, 청년층이 가장 높은 위험군). 기존 상담체계(예: 1388, 1393)는 전문상담사 중심의 1:1 상담으로 운영 인력 부족, 접근성 저하, 지속적 케어 부족 문제. 사회적 요구 친숙한 플랫폼 환경에서 누구나 쉽게 상담 가능해야 함. 같은 ...
...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합니다. 악성 민원을 담임이 바로 대면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적은 교사 급여(OECD 국가 평균 대비 13%나 낮은 임금), 보수적이고 경직된 조직 문화, 과중한 행정 업무도 개선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창의적인 학생을 키워내기 위한 양질의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행복하게 근무할 수 있어야 우리나라의 미래가 밝다고 생각합니다.부디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