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4월 02일 시작되어 총 1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2018년 노인의 현주소, 어떻게 알고 활용해야 할까요?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통계청님의 의견정리2018.06.16

노인통계에 관하여 많은 관심과 참여에 감사 드립니다.


노인의 법적 기준은 만65세 이상으로 이를 근거로 예산 편성 등 많은 정책이 이루어 지고 있어, 조사대상 연령을 변경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단, 일부 지자체의 경우 예비노인(만55세~64세)을 같이 조사하고 있습니다.)


여러 의견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1. 가족 및 사회적 관계 - 독거노인 파악 및 가족 접촉 빈도 등

2. 건강 - 노인의 현재 건강 및 거동상태 등

3. 보건복지 - 노인관련 병원 시설 및 서비스, 복지정책 등

4. 경제 - 노인의 주된 수입원, 생활비 등

5. 노후생활 - 선호하는 장례방법, 종합 만족도 등


모든 의견을 반영하지는 못하였지만,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다시한번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통계청에서는 지역의 발전을 위한 지역 통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지역 통계는 그동안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만들고, 통계청에서 관리해 왔었는데요. 지방자치단체마다 통계를 작성하다 보니, 뚜렷한 기준이 없고 비교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통계청에서는 통계를 작성하는 기준을 정하고자 합니다.


2018년 노인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에 필요한 자료를 알기 위하여 '노인실태조사'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항목은 무엇인지, 추가로 노인 관련 정책을 위해 조사해야 할 문항은 무엇인지 국민의 생각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잠시만 시간을 내셔서 노인 관련 정책에 힘을 실어 주세요!

  • 참여기간 : 2018-05-17~2018-05-24
  • 관련주제 : 보건·사회복지>노인
  • 그 : #통계 #노인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