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서는 농업면적 통계작성을 위한 현장 조사 방식을 위성/항공/무인기 영상과 공간정보를 연계한 GIS 기법으로 전환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 시키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청에서는 지난 연구 사업을 통해 무인항공기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태블릿PC 활용의 필요성을 도출하게 되었습니다. 2018년에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현장조사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오니 아래의 내용을 검토하시고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업면적조사 개요
* 조사방법 : 표본조사, 현장방문을 통해 필지 별 작물 종류 및 면적(보측 등 실측) 조사 시행
* 조사대상 : 전국에 분포한 단위 면적 약 2ha 크기의 표본조사구 2만여 개소
* 조사 회차 별 주요 작물 : 작물 별 생육 특성에 따라 연간 5회 조사 시행
- 1회 조사(3월) : 마늘, 양파, 시설 봄 배추/무, 보리(맥류) 등
- 2회 조사(5월) : 보리(맥류), 봄감자, 사과/배 등 과수, 노지 봄배추/무 등
- 3회 조사(7월) : 벼(논벼, 밭벼), 고추, 고랭지감자, 땅콩, 참깨 등
- 4회 조사(9월) : 가을배추/무, 콩 등
5회 조사(11월) : 겨울 배추/무, 이듬해산 마늘/양파/보리(맥류) 등
2. 주요 애로사항
* 실측에 의한 면적조사로 업무 부담 가중
* 업무 인계/인수 시 업무노하우 습득을 위한 장기간의 훈련 시간 필요
3. 2018년 추진 계획
* 전자야장 활용을 통한 현장조사 모델 개발
- 위성/항공/무인기 영상과 공간정보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태블릿PC용 어플리케이션 개발
- 국내 활용 가능 영상정보와 농업면적표본의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별 적정 활용 방안 마련
= 현장 실측에 의한 면적조사 방식을 태블릿PC 상의 영상 정보로부터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환
* 월동작물 조사를 위한 무인항공기 영상 활용 방안 마련
- 조사작물이 가장 적은 1회 조사(3월)에 대해 무인항공기 영상 활용 방안 마련
- 1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시험조사로 업무 방식 구체화
= 전자야장과의 연계 활용으로 최적의 현장조사 모델 개발
* 주요작물별 영상 라이브러리 작성
- 조사 회차별로 무인항공기 촬영을 하여 주요작물에 대한 영상 라이브러리 제작
= 현장조사 축소를 위한 작물별 영상판독 기준 자료 확보가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