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9월 06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호우특보 개선방안 연구에 대한 의견 수렴
이 생각은 "호우특보 개선방안 연구에 대한 의견 수렴"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기상청님의 의견정리2018.04.25

호우피해와 관련성이 높은 강우량 기준 도입 방안 마련

기상청에서는 정책연구과제 추진에 앞서 사업 추진내용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어 추진용역 과제와 관련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정확한 예보를 국민께 제공하는 것은 기상청의 가장 핵심적인 업무로 예보정확도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 연구는 현실에 맞는 호우특보 기준과 단계별 명칭 등에 검토를 하고자 추진하는 과제로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사업명) 시간당 강우강도를 고려한 호우특보 발표기준 개선방안 연구


 (배경 및 목적)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최근 기후변화로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호우의 발생이 증가하는 등 위험기상 발생 패턴이 변화하고 있음

  - 현재의 호우특보기준으로는 피해 대응에 미흡함에 따라 호우피해와 강우량의 상관성을 고려한 현실적인 특보기준 도입 필요


(사업 내용)
 ○ 우리나라 호우특보 특성에 대한 분석

  - 현재 호우특보 기준과 재해발생을 연계한 강우강도 연구
  - 호우특보 기준 및 현행 호우특보 기준 문제점에 대한 방재유관기관(지자체 등) 의견수렴


 ○ 새로운 호우특보 강우량 도입 방안 제시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호우피해와 관련성이 높은 강우량 기준 도입 방안 마련
<예시> 30mm/1h, 60mm/3h, 70mm/6h, 110mm/12h

  - 현재 시행 중인 6시간 강우량(70mm/6h)과 지속적 호우에 해당하는 12시간 강우량(110mm/12h)의 호우특보 발표기준을 다소 강화하는 근거 및 방안 제시


 ○ 새로운 특보체계의 명칭 및 단계 확대
 방안

      <예시> 예비특보/주의보/경보(3단계) → 감시/경계/위험/매우위험(4단계)

 
 ○ 호우특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안) 제시
  - 새로운 호우특보 기준에 따른 과거 호우사례에 대한 모의실험 및 결과 분석
  - 호우특보시스템 구축(안) 및 운영방안 마련(시스템 구성도 및 프로세스 등)
  - 새로운 호우특보 평가 방법 및 기준 제시


(활용 방안)
 ○ 현실적인 호우특보 기준 도입을 통한 지자체별 방재 대응 능력 강화
 ○ 집중호우에 대한 사전 대응시간 확보로 국가차원의 기상재해 피해 감소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