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에서는 정책연구과제 추진에 앞서 사업 추진내용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어 추진용역 과제와 관련된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정확한 예보를 국민께 제공하는 것은 기상청의 가장 핵심적인 업무로 예보정확도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 연구는 현실에 맞는 호우특보 기준과 단계별 명칭 등에 검토를 하고자 추진하는 과제로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 (사업명) 시간당 강우강도를 고려한 호우특보 발표기준 개선방안 연구
□ (배경 및 목적)
- 최근 기후변화로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 호우의 발생이 증가하는 등 위험기상 발생 패턴이 변화하고 있음
- 현재의 호우특보기준으로는 피해 대응에 미흡함에 따라 호우피해와 강우량의 상관성을 고려한 현실적인 특보기준 도입 필요
□ (사업 내용)
○ 우리나라 호우특보 특성에 대한 분석
- 현재 호우특보 기준과 재해발생을 연계한 강우강도 연구
- 호우특보 기준 및 현행 호우특보 기준 문제점에 대한 방재유관기관(지자체 등) 의견수렴
○ 새로운 호우특보 강우량 도입 방안 제시
- 호우피해와 관련성이 높은 강우량 기준 도입 방안 마련
<예시> 30mm/1h, 60mm/3h, 70mm/6h, 110mm/12h
- 현재 시행 중인 6시간 강우량(70mm/6h)과 지속적 호우에 해당하는 12시간 강우량(110mm/12h)의 호우특보 발표기준을 다소 강화하는 근거 및 방안 제시
○ 새로운 특보체계의 명칭 및 단계 확대 방안
<예시> 예비특보/주의보/경보(3단계) → 감시/경계/위험/매우위험(4단계)
○ 호우특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안) 제시
- 새로운 호우특보 기준에 따른 과거 호우사례에 대한 모의실험 및 결과 분석
- 호우특보시스템 구축(안) 및 운영방안 마련(시스템 구성도 및 프로세스 등)
- 새로운 호우특보 평가 방법 및 기준 제시
□ (활용 방안)
○ 현실적인 호우특보 기준 도입을 통한 지자체별 방재 대응 능력 강화
○ 집중호우에 대한 사전 대응시간 확보로 국가차원의 기상재해 피해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