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10월 30일 시작되어 총 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능력 중심의 고졸취업 문화 활성화"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김태균님의 의견정리2016.10.30

발견된 이슈들을 통해 시기별로 주요한 이슈들을 발견했습니다. 그 중, 적성과 진로 탐색이 선행되지 않은 점과 진로 선택을 함에 있어 학생이 주도적이지 못한 점, 입학 후 학업성취도가 낮거나 적성과 맞지 않을 때의 대안점이 없는 점 등으로 문제를 정의하여 3차 워크숍에서 아이디어 개발을 진행합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서비스디자인 과정 4단계(발견-정의-개발-전달) 중 ‘발견’ 과정과 ‘정의’ 과정의 일부를 진행한 교육부 국민디자인단 2차 워크숍에서는 현안에 대해 데스크 리서치, 현장 리서치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살펴보고 공감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 시스템의 큰 그림을 이해한 후, 국민디자인단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먼저 제도적으로 직업교육을 하고 있는 학교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가 있습니다. 각 학교를 법에서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으며 현재 어떤 전공들이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그간의 리서치를 통해서 숨은 이해관계자를 발견하고 무엇을 통해 서비스를 경험하게 되는지 정리한 이해관계자 지도를 작성했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특성화 교육은 고등학교부터 진로와 적성에 맞는 특성화 교육을 통해 숙련기술과 기능을 익히는 것입니다. 815토크(특성화고 경험자 3인 그룹 인터뷰), 특성화고 4곳 방문 관찰 및 심층 인터뷰, 중고교생 학부모 100인(서울시 교육청 2015.12 자료) 간담회 내용 정리 및 추가 인터뷰를 토대로 작성한 고객경험지도를 통해 특성화고의 학생들은 어떤 과정을 통해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게 되는지, 선취업 후진학 목적의 진로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이나 아직 고등학교로 진학하지 않은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다들 정보가 문제라고 합니다. 너무 늦게 알게 되거나, 원래 알고 있는 내용에 따라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누군가는 알고 있는 내용을 누군가는 모르는 정보. 왜 다들 정보가 문제라는 얘기만 할까요? 진로 탐색 여정을 살펴보며 우리는 이 일을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제(Needs)와 새로운 목표(Wants)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능력 중심의 고졸취업 문화 활성화, 우리가 생각하는 ‘능력’은 무엇인가요?
교육의 힘은 정보와 지식보다 외웠던 것을 다 잊어버리고 난 후의 남는 그 무엇이다.
내 몸에 체화된 사고, 협동,소통하는 능력입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