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8월 31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공무원범죄 제7장, 알게되면 분노주의, 고소인 없는 독직폭행(불법체포) 법악용에 대해서
현재 우리나라 법에는 거짓된 또는 직권남용 가담 민원인을 핑계로 삼아 경찰이 불법행위를 정당화하거나, 민간인 가담 책임을 회피하는 구조입니다.

. 문제의 구조

  1. 불법체포·폭행이 쉽게 발생
    • 현장에서 수에 밀린 피해자를 경찰과 민원인이 합세하여 제압 가능.
    • 경찰 권위에 의존하는 민원인은 “경찰이 시키니까”라는 이유로 가담 → 책임 의식 약화.
    • 체포·폭행 과정이 CCTV나 영상에 남더라도, 경찰 진술·보고서를 통제하면 민원인 가담 부분 누락·축소 가능.
    •  
  2. 수사기관이 민원인 가담 책임을 축소
    • 공범 관계 인정 회피: 민원인까지 공범으로 엮으면 수사 범위가 확대되어 부담 증가.
    • 불법행위 정당화: 경찰 책임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려 민원인 책임 축소.
    • 사건 축소·조기 종결: 민원인을 단순 협조자로 처리 → 사회적 파장 최소화.
    •  
  3. 결과적 문제
    • 불법체포·폭행이 “쉬운 방법”으로 통용, 공권력 남용 반복.
    • 피해자는 경찰과 민원인으로부터 집단적 폭력을 당해도 보호받기 어려움.
    • 증거 왜곡·허위 보고 가능 → 사실관계 확인과 책임 추적 불가.

2. 수사기관이 가담 책임을 축소하는 이유


  1. 공범 관계 인정 회피
    민원인까지 공범으로 엮으면 수사 범위가 넓어지고 사건이 커지므로, 기관은 부담을 줄이려 함.
  2. 불법체포 자체의 정당성 방어
    경찰이 불법행위에 민원인을 끌어들였다는 사실이 드러나면, 경찰 책임이 더 무거워짐 → 이를 가리기 위해 민원인 책임을 축소.
  3. 사건 축소·조기 종결 목적
    민원인까지 기소하면 사회적 파장이 커짐 → “단순 협조자”로 처리해 종결하는 경우 다수


2. 개선·법 개정 필요성

  1. 민원인 가담 책임 명문화
    • 감금·불법체포에 가담한 민간인을 가중처벌 요인으로 법에 명시.
    • “쉬우니까” 하는 관행 차단, 공권력 남용 억제.
  2. 피해자 신고 채널 제도적 보장
    • 사건 발생 시 피해자가 직접 신고하고, CCTV·영상 등 증거를 열람·등사할 수 있는 권리 보장.
  3. 왜곡된 수사·진술서에 대한 확인
    • 보고서, 진술 누락·축소 시 직권남용 추가 처벌 규정.
    • 영상 증거 필수 보존, 객관적 사실 확인 강화.


3. 결론

직권남용, 감금폭행(불법체포) 피해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을 통해 민간인 가담 책임을 명확히 하고, 허위진술서 작성죄에 대해 처벌이 있어야 된다.
민원인 가담을 축소하는 가장 큰 이유
는 불법체포·폭행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 찬성찬성 : 0
  • 반대반대 : 0
  • 기타기타 : 0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