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27일 시작되어 총 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제 생각에 자동차의 범퍼는 저속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주요 부품(엔진, 섀시, 조명, 배기 시스템 등)과 탑승자를 보호하고 수리비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에 어떤 차가 아침일찍 이동하다 저의 차를 뒤에서 추돌한 일이 있었습니다. 젊은분이 아침에 너무 피곤해서 졸았다고 너무 미안하다고 수리를 해주겠다고 했으나 범퍼를 보니 별로 긁힌자국도 없고 해서 피해가 없는 같다고, 조심하시라고 보내 드린적이 있습니다. 그렇게 범퍼는 내차 또는 상대방의 차량에 경미한 충돌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해하게 지나가게도 됩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범퍼안에 각종센서가 들어있습니다. 전방에 라이다센서 측방에 근접센서 후방범퍼에 좌우 후측방센서 후진 경보센서등 각종센서가 빼곡하게 들어 있습니다.
저는 소렌토 2019년식을 타고다니는데 아무생각없이 후진하다 벽에 부딧친 적이 있습니다. 약간 찌그러지고 브레이크등 깨지고 등등으로 약 100만원 정도 나왔으나 수리가 끝날즘 정비업소에서 후측방센서도 나간것 같다고 연락이 와서 교환해 주세요 하니 조그마한 성냥갑만한것이 40만원이랍니다. 센서가 비싸구나 생각 했습니다. 몇년후 이번에는 전방에 범퍼가 부딧히는 사고가 있었는데 범퍼가 긁혀서 도색만 하는 타고 다녔는데 어느날 긴급제동장치 센서오류가 뜨고 스마트 크루즈 센서 오류가 뜨길레 정비공장에 갔더니 라이다 센서가 불량이라고 교환해야 된다고 했습니다.
아이고 또 4~50만원 들겠구나 했는데 라이다 센서 부품값만 170만원 거기에 따른 프레임 공임 포함하면 200만원이 넘을거란 견적을 보고 놀라 그냥 온적이 있습니다.


앞으로는 살짝만 부딧혀도 절대 그냥 가세요라는 말도 못하겠다 싶네요. 인심이 각박해 져도 혹시나 내부에 있는 센서가 문제가 있으면 분쟁이 될수 있어서 무조건 보험처리 하자고 이야기 해야 할 판입니다.
그냥 보냈다가 나중에 문제가 발생되면 제가 부담하거나 한바탕 분쟁을 하거나 해야 되니까요.

저의 의견은 범퍼는 충격을 흡수하고 탑승자를 보호하고 수리비를 최소화 하는 역활이라면 범퍼는 그자체 역활만 해야되는데 지금은 범퍼가 그역활을 못합니다. 조금만 부딧혀도 얼굴을 붉히고 언성이 높아지고 싸움으로 이어지는게 오히려 이해가 됩니다.

자동차 안전기준을 담당하시는 공무원님
법을 조금 개정해서라도 범퍼는 본연에 기능에 충실해야 되고 경미한 충격에 센서류가 이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범퍼외의 장소에 설치해야 된다고 명시하면 
첫재 대한민국의 차량 접촉사고에 따른 고가의 센서 수리비가 대폭 줄어들것으로 사료됩니다. 
두번째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조그마한 접촉사고도 보험으로 처리합니다. 과거에는 범퍼가 떨어져 나가는 사고가 나도 몇십만원이면 해결이 되었지만 지금은 센서류등으로 수리비가 몇백나오는것도 잠깐입니다
 범퍼안에 센서류만 없다고 하더라도 자동차 보험으로 지출되는 비용이 많이 줄어들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급발진을 주장하는 사고가 많이 나고 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급발진을 하면 자동으로 제어가 걸리는 장치를 정부 지원으로 달아주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런 좋은 제도가 있다면 우리나라도 머지않아 적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또 이런것을 단다고 하면 제일 달기 좋은장소가 범퍼 떼고 범퍼안에다 설치하겠지요. 그차가 조그마한 접촉사고라도 나서 고장나면 또 무용지물이 될테고요..

공무원님께서 보험사나 이런곳에 조사해 보시면 금방 나오겠죠. 연간 범퍼안에 들어있어서 고장나 교체하는 센서류의 비용이 얼마인지??
앞으로 생산되는 차는 제발 범퍼안에 센서류가 설치되지 않고 상호간에 경미한 접촉사고가 나도 예전처럼 서로 웃으면서 조심합시다 하고 헤어지는 시대를 바라봅니다.
  • 참여기간 : 2025-07-27~2025-08-10(24시 종료)
  • 관련주제 : 교통 및 물류>기타
  • 그 : #범퍼 #자동차

※ 건전한 토론을 위해서 비방·욕설·도배 등 토론을 방해하거나 토론과 무관한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