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21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내 제조업의 한계 극복을 위해 KC 인증의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면서 국내 제조업의 한계를 체험하고 있습니다
개발하는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들은 국내에서 제조, 판매되는 부품들이 없어 중국산 부품들을 구입, 적용하여 완제품을 양산하게 됩니다
이렇게 양산하는 제품은 KC 인증을 받아 시장에 출시되는데
KC 인증 단계에서 보다 유연성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일례로
중국 부품들도 자체 인증이나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하기 위해, 수출 할 국가에 필요한 인증을 받아 수출하게 되는데
해외 인증을 받은 부품들을 우리나라 KC 인증에 적용되었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입니다
중국 부품들은 한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KC 인증을 받은 제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인데
해외 인증을 받은 중국 부품들을 구입, 완제품을 제조하여 KC 인증을 받을 때의 어려움으로 개발을 포기하거나,
다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재투자를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상기와 같은 폐단을 없애어  한국 제조업에 부담을 완화 해 줄 필요가 있다고 사료됩니다


사례)
AC 220V 소형 BLDC 모터를 적용한 제품 개발을 마무리하고, 전기안전 인증 심사를 신청함
 - 전기안전 인증시 완제품에 들어가는 각개의 부품들에 대한 KC 인증 요구로 AC 220V 모터 적용을 포기하고
DC 12V BLDC 모터로 전환하면서 프로그램 재개발(추가비용 발생) 및 양산 지연으로 손실 발생
 - DC 12V 모터 적용으로 부품 구성 최소화 --- BLDC 소형 모터 + 노이즈 필터가 장착된 KC인증 어댑터 + ON/OFF 스위치로 구성
 - 노이즈 필터가 장착된 KC 인증 어댑터를 사용하였으나, 노이즈가 발생한다고 함 ---- 해소를 위해 추가 비용 발생

※ 상기 사례중 무엇이 문제일까요?


 
  • 찬성찬성 : 0
  • 반대반대 : 0
  • 기타기타 : 0

※ 건전한 토론을 위해서 비방·욕설·도배 등 토론을 방해하거나 토론과 무관한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