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13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심리학 연구 재현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과 개선 방안 마련 요청
안녕하십니까. 저는 심리학과를 지망하는 고등학생으로서, 현재 심리학 재현성위기에 대한 심각성을 알리고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지원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 과정을 연구하는 중요한 학문으로, 인문·사회·자연·공학·의학 등 여러 분야와 연계되어 국민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외에서 심리학 연구의 결과가 반복 실험을 통해 동일하게 재현되지 않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2015년 오픈사이언스협회(Open Science Collaboration)에서 진행한 대규모 연구에서도 주요 심리학 연구 100건 중 약 40%만이 유의미하게 재현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재현성 위기는 연구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연구의 구조적 문제와 학계의 잘못된 인센티브 구조에서 비롯됩니다. 흥미로운 결과에 대한 과도한 집착, 논문 출판 실적 경쟁, 허술한 동료심사 등으로 인해 일부 연구 결과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채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 피해는 교육, 임상 심리, 정신의학, 정책 등 국민의 실생활과 직결되는 여러 분야로 확산됩니다.
따라서 저는 아래와 같은 개선 방안을 정부와 관련 기관이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제도화해 주시길 건의드립니다.
• 사전등록제도 도입 및 활성화: 연구 주제, 가설, 데이터 수집 방법과 분석 계획 등을 사전에 등록하고 공개함으로써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관련 플랫폼을 구축하고 제도를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연구 방법론 개선 지원: 표본 크기 확대, 철저한 통계 검증, 정교한 연구 설계 및 메타 분석 등 신뢰성 높은 연구 수행을 위한 연구비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 주시길 바랍니다.
• 학계 인센티브 구조 개선: 새로운 연구뿐 아니라 기존 연구의 재현과 검증 연구에도 충분한 학문적 가치를 부여하고, 재현 연구 논문도 연구 실적으로 인정될 수 있도록 학술 평가 기준을 개선해 주시길 바랍니다.
심리학의 재현성 위기는 학문 내부의 문제를 넘어, 국민의 삶의 질과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입니다. 이에 정부가 중심이 되어 신뢰할 수 있는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고, 심리학뿐만 아니라 여러 학문이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 대책을 마련해 주시길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여기간 : 2025-07-13~2025-07-13(24시 종료)
  • 관련주제 : 일반공공행정>통계관리
  • 그 : #심리학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