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11일 시작되어 총 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양자정보연구 지원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양자 기술은 선도국(미국) 대비 약 81% 수준이며 국내 전체 정보통신기술 기술내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국내 핵심연구인력은 약 150명 내외로 추산되고있고, 높은 학문적 난이도와 활발한 산업 미형성으로 인재유입이 낮아 인재양성 체계가 부족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현장중심 연구개발(R&D) 생태계 조성과 인공지능(AI) 대전환 추진을 위해 지난해보다 1조 1047억 원이 증가한 6조 3214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점점 양자를 포함한 ICT산업 육성을 위해 투자율을 올리고는 있지만 여전히 기술 요구도에 비해 부족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양자기술은 최근 중요성이 증가하고있지만 선도국 대비 규모도 작고, 전략성도 떨어집니다. 따라서 정부는 기존 AI, 바이오, 반도체와 같은 주류 기술 투자율을 낮추어 양자기술의 투자율을 높일 것을 건의합니다. 양자 기술이 본격화 된다면 양자기술 활용 분야 산업이 촉진되는데 예를들어 양자암호, 양자컴퓨터, 양자기반 머신러닝 등 더 나아가 양자 레이더, gps(양자항법장치)과같은 포괄적인 분야에서 근원적으로 효율적이나 용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 참여기간 : 2025-07-11~2025-07-25(24시 종료)
  • 관련주제 : 통신·과학>과학기술제도
  • 그 : #기술산업

※ 건전한 토론을 위해서 비방·욕설·도배 등 토론을 방해하거나 토론과 무관한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