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5월 29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우리나라 현재 수학 교육 방식에 대하여 제안
제가 현재 학교를 다니면서 수업을 듣고 있는데, 그 중 수학 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하고 있는 수학 수업은 정해진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진도를 맞추기 위해 진행되는데,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사고 할 수 있는 시간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학이라는 과목은 수학 개념을 스스로 탐색하고 응용해보는 과정이 중요한데, 현재 교육 환경에서는 이런 기회가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수학개념만 듣고 외우는 방식이 수학을 배우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고, 단순히 암기 위주의 학습을 하여 수학적 사고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 교사들도 탐구 중심 수업을 운영하고 싶어하나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해 시도를 못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 문제들은 단수히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을 넘어 학교와 사회 전체의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해결해야 합니다. 학생들의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 정규 수업 시간 또는 특별 활동 시간 중 일부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수학 탐구 활동’을 새로 도입해야 합니다. 수학 탐구 활동 시간을 장기 편성 하여 학기별로 1~2회 이상 정ㅇ규 수업 또는 창체 시간을 활용해 수학 탐구 프로젝트를 실시하는데, 수학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의 진로와 연관되게 하여 탐구 활동을 실행해서 자신의 진로에 더 도움이 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방안은 교육과정 및 정책과의 적합성을 드러내는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해결방안을 핵심 방향으로 제시 했습니다. 또한, 실제로 서울시 교육청에서 수학 탐구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한 사례가 드러나 어떤식으로 실현 할 수 있고, 그에 대한 기대 효과를 알 수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 수학 탐구 중심의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탐구형 수업 설계 방법,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에 대한 연수 기회를 제공 해야 합니다. 교사들이 이런 연수를 듣고 난 후,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수학 탐구 프로젝트 활동을 제공 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 입니다. 지금 수학을 배우고 있는 학색들이 수학을 단순히 암기가 아닌 탐구 대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교육청과 함께 실천 가능한 방안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키우는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참여기간 : 2025-05-29~2025-05-31(24시 종료)
  • 관련주제 : 교육>고등교육
  • 그 : #수학교육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