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0년 04월 20일 시작되어 총 5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불채택제안 숙성)빗물저장이용시설 설치 및 지원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충청남도 서천군님의 의견정리2020.05.05
빗물저장이용시설 설치 및 지원과 관련하여 국민 의견 수렴 결과 주변 소농가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빗물 저장 공동시설을 개발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며, 설치 가능한 지역을 우선 선정하여 설치하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의견을 제시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현황과 문제점
  - 벼농사를 짓는 농가는 수로 관개개선이 잘 되어있어 물 공급이 잘되고 있으나,
    대부분 소농가인 밭농사를 짓는 농가는 매년 물부족사태를 겪고 있습니다.
    또한, 집과 밭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임.
○ 개선방안
  - 서울시, 경기도, 제주도, 울산시, 포항시 등 다른 많은 지자체에서
    빗물이용시설 설치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수돗물이나 지하수는 센물이어서 작물성장에 장애를 주지만
    빗물은 단물(연수)이어서 농사에 많은 도움을 줌.
    따라서, 소규모 농사를 짓는 가정에 빗물저장이용시설 설치를 지원해줬으면 함.
○ 기대효과
  - 소농가들의 만성적인 물 부족사태 해결
  - 값 비싼 수돗물 대신 무료인 빗물을 저장하여 사계절 필요 시 사용하므로
    작황증대 및 경비 절감

 【담당부서 의견-불채택】
○ 빗물이용시설이란? 건축물의 지붕면 등에 내린 빗물을 모아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설
○ 제안한 빗물이용 설치사업은 건축물이나 비닐하우스 등 지붕에서 빗물을 모아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으로 기본적인 지붕형태나 빗물받이가 있어야 설치가 가능함.

○ 경작지 주변에 건축물이 있어야 효율적으로 빗물 이용이 가능한데, 대부분의 경작지의 경우
    건축물과 거리가 있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역은 한정적일 수 있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함.
○ 우수는 기상상태에 큰 영향을 받으며 강우량 및 집수면의 크기에 따라 공급량에 큰 편차가
    생김. 또한 용수 수급이 불안정한 단점을 갖고 있음.
○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시 해당 지역의 기상조건 및 목표기능에 적합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시스템에 대한 세부사항을 결정하여 평가를 수행하여야 함.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빗물이용시설 자체가 건축물의 지붕면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에 경작지에는 설치할 수 없는 걸까요? 
저비용 농업용수 확보방법은 없는 걸까요? 여러분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해주세요^^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