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황 및 문제점
❍ 그동안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 수립 등 산림경관 향상을 위한 청 차원의 계획 및 대책을 수립하였으나 실천은 극히 미흡
- 산림경관관리 기본계획 수립(’09.12)
․수립배경, 계획기간(’10∼’17), 목표 및 전략, 연차별 추진계획 등
- 산림경관 계획·관리 업무편람 발간(’11)
․산림경관계획 수립요령, 유형별 경관계획 수립(자원조사, 조망점 정비 등)
․산림경관 사업의 기본원칙, 유형별 산림경관 디자인 키워드 등
- 「국가 산림경관벨트 구축 기본계획」 용역 완료(’12)
․유형별(내륙·해안·하천) 산림경관 관리지역 선정(100개소)
* 유형별 분포 : 내륙 57, 해안 29, 하천 14개소
․산림경관관리지역 개소별 관리방향 및 시업방법 제시
- ‘숲가꾸기 사업 매뉴얼’에 「산림경관 유형별 작업방안」 마련(ʼ13)
․관리목표, 유형별 시업기준 마련(경관형, 공원형, 생산형, 방음·방풍형)
․수종별 관리방안 마련(혼효림, 리기다,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 등)
- 복합 산림경관개선 시범사업 추진(’14~’16, 남부청)
․‘백두대간 협곡열차 운행구간’ 인 봉화군 소천면 일원에 시범사업 실시
* 사업기간: ʼ14∼’16(3년), 30억 원
* 사업내용 : 조망점 정비, 경관수종 식재, 불량임분 개선 등
※ 부처 협력사업 추진 : 봉화군(사유림), 코레일(철도부지)
- 산림경관 모델숲 조성(’15~’17, 동부청)
․대관령 옛길 주변 산림경관 모델숲 조성
* 사업기간 : ʼ15∼’17(3년), 10억 원/’15년 2억원
* 사업내용 : 조망점 정비, 경관수종 식재, 불량임분 개선, 쉼터조성 등
❍ 신규 예산확보 성과 미흡
연도별 | 사 업 명 | 사업내용 | 예산요구 | 비 고 |
2008 | 산림경관벨트조성 | 기본계획수립 | 62억원 | 미반영 |
우수 산림경관자원 실태조사 | 해안경관 실태조사비 | 2억원 | 미반영 |
2010 | 강변 경관숲 조성 | 4대강유역 거점숲 조성 | 196억원 | 미반영 |
경관숲 조성관리 | 자원조사, 경관디자인 | 32억원 | 미반영 |
2011 | 국가산림경관벨트 기본계획 수립 | 100개 대상지 선정 및 조성방안 수립 | 5억원 | 반 영 |
2013 | 복합 산림경관개선 시범사업 | 협곡열차 경관림조성 | 30억원 | 반 영 |
2014 | 대관령 산림경관 모델숲 | 조망점, 경관개선 등 | 10억원 | 반 영 |
❍ 산림경관 업무소관이 분산되어 있어 사업추진에 소통․협력 부진
- 도시숲경관과 소관 : 경관숲 조성
․관련 규정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제3항제2호
☞ (경관숲의 정의) 우수한 산림의 경관자원 보존과 자연학습교육 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성·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
․사업내용 : 산림경관개선(간벌, 화목류식재 등), 조망점, 소공원 등
- 산림자원과 소관 : 큰나무 공익조림
․관련 규정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0조(벌채지 등에서 산림조성)
․사업내용 : 경관조성 등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하여 산벚, 이팝, 산수유 등 꽃이나 열매가 아름다운 경관수종 식재
- 산지관리과 소관 : 산림경관․유역 맞춤형 산지관리
․관련 규정 : 산지관리법 제3조(산지관리의 기본원칙) 및 제3조의2(산지관리기본계획 수립 등)
․사업내용 : 산지경관 관리체계 구축(산지경관 특성 조사체계 구축 및 산지경관영향 검토제도 개선 등)
2. 발전방안
❍ 도로변 산림경관 개선 등 신규사업 적극 발굴
- 고속도로 연접지역 산림경관 개선
․금산인삼랜드 휴게소 등 경부․영동․중부․서해안고속도로 휴게소 연접 또는 조망권 국유림 산림경관 개선
* 벌채가 수반되는 경우 숲가꾸기(큰나무 조림)로 추진(산림자원과 협조)
․도로변 산림경관 보전을 위한 복합산림경관숲 조성사업 신규사업 예산 확보
* (’16년 신규사업) 10개소, 210백만원
** 경기 2개소 30백만원, 경북 5개소 150백만원, 경남 3개소 30백만원
- 주요도로변, 관광지 및 생활권 주변 산림경관 개선
․도시지역, 수변지역, 해안관광지 등 관목류, 화목류 및 교목류 등 경관 자생식물 조림 등 산림경관 개선
* 「국가 산림경관벨트 구축 기본계획」 상 유형별(내륙·해안·하천) 산림경관 관리지역 산림경관 개선 추진
❍ 산림조경숲 신규사업 예산 확보
- 조경소재를 주제로 도시내 특색있는 조경숲을 조성하기 위한 산림조경숲 조성 신규사업 예산 확보
․(’16년 신규사업) 3개소, 1,100백만원
* 울산 1개소 500백만원, 경북 2개소 600백만원
❍ 복합 산림경관숲(봉화) 시범사업 효과분석 및 세부실행방안 마련
- 공․사유림의 대리경영 등을 통한 사업실행 검토
․근거리 가시권의 조망권을 저해하고 있는 공․사유림에 대한 경관정비를 위해 산림청 주관의 대행 사업 검토
- 「복합경관숲 조성 시범사업 지침」 개정
․’13.11월 제정된 「복합경관숲 조성 시범사업 지침」은 사업의 기본개념과 조성방향 위주로 되어있어 현장적용에 애로
3. 향후 계획
❍ 온라인 정책토론 의견 분석을 통해 산림경관관리 발전 방안 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