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9월 02일 시작되어 총 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해양환경조사와 연·근해 어장 생상성 향상을 위한 자료 활용도 제고 정책토론
1. 동해 해양 조사(첨부파일 그림 1 참고)
❍ 조사항목
- 해수(6회, 격월조사) : 수온, 염분, 투명도, 용존산소, Chl.-a, 부유물질(SS), 영양염류(PO4-P, NO2-N, NO3-N, SiO2-Si)
❍ 활용가치
- 동해 근해의 어장 변동 예측을 위한 자료 및 해양환경 자료 획득 을 위한 모니터링
- 장기간 자료의 축적(1929∼현재)으로 동해의 기후변화 적응 기초 자료 활용
❍ 개선방향
- 토픽(topic)을 위한 선박 관측 운영의 융통성 필요
- 자료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 제시 및 구축 필요
 
2. 기후변화거점 모니터링(첨부파일 그림 2 참고)
❍ 조사항목
- 해수(6회, 격월조사) : 수온, 염분, 투명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 Chl.-a, 부유물질(SS), 영양염류(PO4-P, NO2-N, NO3-N, SiO2-Si)
❍ 활용가치
- 동해 기후변화의 정량적·정성적 변화 파악을 위한 장기간 모니터링을 위한 지점 구축 및 자료 축적
❍ 개선방향
- 실시간 자료를 얻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자료의 체계적 자동 저장 설비 구축 및 활용 방안 강구
 
3. 어장환경 모니터링(첨부파일 그림 3 참고)
❍ 조사항목
- 해수(6회, 격월조사) : 수온, 염분, 투명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 COD, Chl.-a, 부유물질(SS), 영양염류(PO4-P, NO2-N, NO3-N, SiO2-Si), TN, TP
- 퇴적물(2회 2, 8월) : 일반항목(입도, COD, AVS, IL)
❍ 활용가치
- 동해 연안어장의 안정적 수산물 생산과 수산생물의 피해기작 구명을 위해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장기자료 구축
❍ 개선방향
- 갑작스런 어류폐사 등에 신속대응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확충
 
4. 동해 근해어업자원조사(첨부파일 그림 4 참고)
❍ 조사정점
- 정 점: 동해 연안 9개 정점 및 근해 특정해역 11개 정점
❍ 조사항목
- 해양환경조사
⦁ CTD (정점의 표층~해저면 5m 위까지 1회 실시, 수온, 염분의 연직구조 관측)
⦁ Thermosalinograph : 수온, 염분, 운항 후 계속 기록, 클로로필 a
- 트롤 조사 및 과학어탐조사
⦁ 자원 밀도 및 자원현황 조사
⦁ 주요 어종의 생식생태 조사
⦁ 주요 어종의 식성 조사
⦁ 주요 어종의 연령 분석
⦁ 운항후 계속 기록
- 난자치어 조사
⦁ 봉고네트를 이용하여 모든 정점에서 150m까지 경사채집
❍ 활용 가치
- 우리나라 해역의 주요 어업자원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로서 생물학적 특성 및 자원상태를 파악하고 인접국간 공동자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임
- 배타적경제수역(EEZ) 설정에 따른 우리나라 주변수역의 새로운 해양질서 확립과 총허용어획량(TAC) 제도의 실시에 대처하고 인접국간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평가와 적정관리 기준을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 개선방향
- 향후, 고도 회유성 수산자원에 대한 자원조사로 음향자원조사나 어군행동관측을 위한 에코시스템 접근방식의 음향기술과의 접근법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

 
 


 
 
 
 
 
 

 

 
 
  • 참여기간 : 2016-09-02~2016-09-15(24시 종료)
  • 관련주제 : 교통 및 물류>기타
0/1000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