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8월 16일 시작되어 총 17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과 함께 고민하며 만들어가는 전통시장은 어떤 모습일까요?(양평군 국민디자인단)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경기도님의 의견정리2016.10.25

국민생각함에 한분 한분 정성껏 올려주신 13개의 소중한 의견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전통시장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고, 크게 5가지 키워드로 분류해 보았어요^^




우리 전통시장에도 꼭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면서, 전통시장 국민디자인단이 모여 그동안 함께 토론하고 고민하였습니다.
다음은 국민디자인단 활동 모습입니다. 



① 9월19일, 양평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국민디자인단이 구성되어 첫 모임을 가졌고,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강의를 듣고 양평 전통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② 9월26일, 양평물맑은시장에서 이뤄졌던 사업들의 성과에 대해 토론하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골목정비 및 특화거리조성에 대한 설명과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③ 10월4일, 이해하기 단계로써 전통시장의 수요자(고객)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비즈니스 캔버스 작성, 정책수요자 설정, 이해관계자 맵 설정, 조사목표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④ 10월11일, 정의하기 단계로써 퍼소나 작성, 여정맵 작성, 핵심이슈도출 및 서비스목표 수립을 통해 핵심 문제점 도출과 해결방안에 대한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⑤ 10월18일,  그룹별 아이데이션을 통해 전통시장에 대한 톡톡튀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두물머리와 용문산 관광지로 유명한 경기도 양평군!!

양평에는 대표적인 전통시장 3곳이 있습니다.

전통시장은 우리 고유의 '아고라'였습니다. '아고라'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에서 시민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던 공공의 광장을 말합니다. 아크로폴리스가 종교와 정치의 중심지였다면, 전통시장은 시민의 경제생활과 예술 활동이 이루어 졌던 장소를 말합니다. 


현재 양평의 전통시장은 물건을 사고파는 단순한 공간적인 기능 외에도 서민들이 모이는 집회장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양평군 같은 경우는 전통시장이 하나의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곳에는 문화가 공유되는 장을 만들고, 만남이 있고, 정보가 교류되는 소통의 장의 역할을 하여 사람들이 늘 끊이질 않고 생기가 넘쳐나는 곳으로 인식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시장이 유통산업의 구조가 변하고, 교통이 발달하고, 상인들의 의식구조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점차적으로 침체의 길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침체는 곧 지역경제의 근간인 중소상인들의 경제가 무너지고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소득의 양극화는 더욱 심해지게 될 것입니다. 지역경제의 침체를 막기 위해 전통시장 활성화가 우리에게 절실하며, 필요한 상황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양평군은 3대 전통시장(양평물맑은시장, 용문천년시장, 양수리전통시장)에 대해 각자의 특색에 맞게 다양한 시설 설치 및 경영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官)주도의 활성화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국민디자인단 활동과 함께 국민생각함을 통하여 하나의 관광자원으로서의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여러분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에 첨부한 사진은 용문천년시장의 주말장터, 양평물맑은시장의 쉼터 및 광장, 양수리 전통시장의 아케이드골목 이미지의 모습입니다.


각 시장별 특성화를 할 수 있는 방안! 여러분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기다립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