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재외문화원의 한국문화 확산 전진기지화
<재외문화원 사업 역량 제고>
- (사업모듈화) 문화원의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모듈화한 “사업매뉴얼” 보급
- (K-Culture 체험관) 대한민국의 핵심 브랜드, 전통문화+ICT기술, 우수문화상품, 융복합 콘텐츠 등 소개
- (대표 브랜드 사업) 주재국 특성, 선호를 반영한 문화원별 핵심 사업을 집중 육성
- (협업체계 구축) 현지 지원그룹인 ‘K-컬쳐 서포터즈’ 연계 사업 추진 및 콘진원․관광공사․aT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확대
- (전문인력) 해외문화PD,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해외전통문화예술봉사단, 케이팝 전문 강사, 문화콘텐츠산업 전문가 등 파견
<인프라 확충 및 개선>
- (신설 및 개보수) 캐나다, 이탈리아, 싱가포르 신설 및 기존 문화원 리모델링 추진
- (코리아센터) 뉴욕, 파리에 관광공사․콘진원 등이 공동 입주하는 코리아센터 건립 추진
- (임차건물 국유화) 임차건물 사용 문화원 건문을 단계적으로 국유화
ㅇ 재외문화원 운영체계의 내실화
<행정직원 역향 강화 및 관리제도 개선>
- (처우 개선) 기본급 인상, 수당 현실화 등 보수 제도 개선
- (정원제 도입) 문화원별 행정직원 정원제도를 도입
- (인력운영 개선) 채용, 퇴직, 보수, 복무 등 사업은 해외문화홍보원에서 통합 관리
- (역량 강화) 직무교육 및 현지 지도점검을 통한 행정능력 제고
<문화홍보분야 주재관 선발제도 개선>
- (선발 및 관리) 주재관 선발, 증원 및 전환배치 관련 관계부처와의 협업 강화
- (선발요건 강화) 홍보경력 기준 강화 등 문화홍보 전문가 영입 확대
참고 1. 재외 한국문화원 일반현황
참고 2. 2016년 해외문화홍보원 업무계획 中 문화원 부분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