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스포츠클럽 개요
- 학교스포츠클럽이란 체육활동에 취미를 가진 같은 학교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학교가 운영하는 스포츠클럽을 말하며 방과후 시간, 점심 시간, 토요일 등 수업 시간 외 활동을 말한다.
- 학교체육진흥법 시행(‘13.1.27.)에 따라 각 급 학교에서는 의무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하여야 하며 모든 학생들이 1종목 이상 참여 및 단위학교는 3종목 이상 교내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해야 한다.
- 교육부에서는 연간 17시간 이상 활동한 학생 비율(전교생의 70%이상)로 시도평가를 하며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된 스포츠클럽 활동내용은 상급학교 진학 자료로 활용된다.
1.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의 문제점
- 학교주도 운영으로 인한 교사 업무 과중 : 클럽지도, 공휴일 대회 인솔 및 지도, 생활기록부 기록 등
- 모든 학생들이 참여 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특히 고등학생 참여율이 매우 저조함,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심판·매니저 등) 가능
- 지역사회와의 협력 부족 : 체육시설 사용, 지도자 지원 등
2.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
- 교사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스포츠강사, 방과후강사 등 적극 활용
- 학생자치회 주도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및 학생자율역량강화
- (통합)체육회, 가맹경기단체, 지역대학, 지역연고 프로구단 등 유관기관 협력체계 구축
☞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