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8월 16일 시작되어 총 1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1. 사교육 참여 현황과 사교육 발생의 원인
가. 2015년 교육부·통계청 주관 사교육비 실태조사 결과(2016. 2. 26. 보도자료) : [첨부파일 참조]
-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3만4천원으로 2014년에 비해 7천원 증가
- 2015년 학생 월평균 사교육 참여율은 초·중·고 모든 학교급에서 증가
나. 2016 교육청 자체 사교육 실태 조사(2016. 4. 1.~ 4. 8.) : [첨부파일 참조]
-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5만9천원으로 2015년에 비해 20천원 증가
- 사교육 참여율은 75.8%로 2015년보다 2.5%P 증가
- 교과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영어 > 수학 > 예·체능 순
- 교과별 사교육 참여율 : 수학 > 영어 > 예·체능 순
- 사교육을 받는 이유 : 학교수업 보충>보육>진학준비>선행학습>불안심리
- 사교육 결정 주체 : 어머니 > 학생본인 > 아버지 > 기타
- 사교육 경감 대책 : 방과후학교 > 교육과정 내실화 > 예산 확보 > 학원 단속 > 학부모 교육
다. 사교육 증가 요인
-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시행에 따른 사교육 수요 증가
- 수능 영어 영역이 절대평가로 전환될 것이 예고됨에 따라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수요 증가
- 학교 내 방과후학교 운영 시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음.
- 저출산,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부모의 교육적 관심 증가와 자녀의 성적 향상을 통한 사회적 성취를 기대하는 학부모 인식 개선의 어려움
-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에 따른 학력 관리 불안 심리가 다소 작용하고 있으며, 맞벌이 가정의 증가로 인한 사교육의 돌봄(보육) 기능이 커짐.
 
2. 효율적인 사교육 경감 방안
- 사교육 수요가 높은 수학, 영어, 논술, 예체능 과목에 대한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 운영 방안 모색
- 동래, 해운대 등 사교육 참여율이 높은 지구의 방과후교육 질 관리 및 사교육의 경감을 위한 예방 학부모 교육 강화(연중)
- 교육과정 내실화, 과정 중심평가 등 공교육 신뢰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 지역 연계를 통한 수요자 중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강화
- 학생․학부모 대상 사교육 폐해 예방교육 및 우수사례 발굴․보급
-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 대비 사교육 증가 요인 사전 차단을 위한 홍보
 
  • 참여기간 : 2016-08-17~2016-08-30(24시 종료)
  • 관련주제 : 교육>기타
0/1000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