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증구조) 서울보증보험이 원금 전부 보장하되, 지급 보험금이 보험료를 150% 초과시 은행이 추가 보험료 납부→ 손실분담구조
ㅇ CB등급과는 별개로* 서울보증보험의 중신용자 전용평가 모형에 따른 보증요율·한도 산출
* 다만, 은행들은 중신용자인 4~7등급을 위주로 한 상품구성
□ (타겟 고객) 비은행권 대출을 이용했거나 이용가능성이 있는 CB 4~7등급 위주 중신용자로, 기존 은행상품 이용이 어려운 분
➊ 새희망홀씨 등 정책서민금융상품을 이용하기에는 소득수준이나 신용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중위소득자 또는 중신용자
➋ 사회 초년생, 연금수급자 등 상환능력이 있으나 은행 대출이 어려운 분
➌ 제2금융권 고금리 대출을 은행권 중금리 대출로 전환하려는 분
※ 기존 은행권 상품과 은행 사잇돌 대출의 차이 □ (기존 은행 중금리 상품) 1~3등급 고신용자 대출 비중이 높고, 평가역량 미흡·손실 우려 등으로 보수적·소규모 운용 경향 □ (새희망홀씨) 은행권의 대표적 정책서민금융상품으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저신용 서민을 대상으로, 시장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 * 소득금액 3,000만원 이하 또는 소득금액 4천만원 이하이면서 CB등급 6~10등급인자 대상 □ (사잇돌 대출) 시장 원리에 따라, 상환능력이 있는 중위소득·중신용 서민을 타겟으로 하고, 리스크에 상응한 금리로 대출 ㅇ 손실분담구조를 통해 은행의 보다 적극적인 운용을 뒷받침 |
□ (대출 대상) 상환능력이 있는 자로 소득기준을 충족하는 자
➊ 재직기간 6개월 이상* 근로소득자 : 2천만원 이상
* 동일직장 기준이나, 90일 이내 이직한 자의 前직장 재직기간 포함
➋ 1년 이상 사업소득자 : 1,200만원 이상
* 사업소득자 소득포착률, 자금용도(사업자금) 등 실 상환능력을 고려, 2천만원보다 낮게 설정
➌ 1개월 이상 연금수령자 : 1,200만원 이상
* 연금 소득의 안정성을 고려
※ 2개 이상의 소득을 유지 중인 경우 합산하여 인정
➍ 일반 소득 증빙뿐 아니라,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또는 건강보험료 납입실적에 따른 환산소득도 인정
□ (대출 한도) 1인당 최대 2천만 원 이내
* 다만, 상환능력 평가, 성실거래실적, 부채 수준 등 상환여력에 따라 차등
□ (대출기간) 거치기간없이 최대 60개월 이내 원(리)금 균등상환
□ (대출금리 등) “보험료 + 은행 수취분” 포함 6~10%대 예상
ㅇ (보증료) 서울보증보험의 중신용자 전용 평가 모형에 따른 상환능력 평가에 따라 연 1.81%~5.32% 수준
ㅇ (은행 수취분) 조달원가, 업무비용 등 감안, 은행별 자율 결정
⇨ 그러므로, 대출자는 은행과 약정한 금리 외에 별도 비용 부담 없음
ㅇ (우대 금리) 성실 상환·거래실적이 있는 경우 은행별 방침에 따라 금리 우대
※ 중도상환수수료는 면제
□ (대출 신청 방법·절차) 소득요건 등 대출요건 충족이 증빙되는 경우 창구·모바일에서 당일 대출 가능
ㅇ (창구 방문) 9개 은행 전국 6,018개 지점* 방문·상담 → 심사 통과·필요 서류 증빙시 즉시 대출 실행 가능
* 9월 중 4개 은행(대구, 부산, 경남, 광주) 추가 출시 이후 6,851개 지점(잠정)
ㅇ (모바일 창구) 2개 은행에서 모바일 플랫폼(신한 써니뱅크, 우리 인터넷 뱅킹)을 통해 당일 대출 실행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