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 장기화ㆍ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인구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친화산업 규모도 빠르게 성장할 전망입니다.
* 노인인구 비율 전망: 13.1% (’15년) → 24.3% (’30년) → 37.4% (’50년)
ㅇ 고령화 속도가 빠른 일본, 독일 등에서는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위해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연구개발을 지원중에 있습니다.
* (일본) 고령친화 식품의 규격과 섭취 대상 표준화, 인증제를 통한 제품 신뢰도 향상(독일) 고령친화 제품, 의·약학분야, ICT 서비스 R&D에 매년 약 5천억원 지원
⇒ 노인주거서비스 및 고령자 맞춤형 제품 등 연관산업의 체계적 발전을 위한 법ㆍ제도적 기반 조성이 필요
노인 하우스푸어를 위한 주거서비스 지원,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대응 및 관련 기술발전의 방향성 모색, 관광,스포츠 등 서비스산업의 맞춤형 접근 등을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1. 국민여러분께서 느끼신 혹은 관찰하신 우리나라 노인들의 생활상의 애로사항들과 요구사항들
2.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산업육성정책이 펼쳐지면 좋을지
에 대하여
자유롭게 의견 개진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