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7월 21일 시작되어 총 5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농협중앙회­조합간 경합해소 및 상생발전 방안
1. 추진배경
❍ 농협중앙회-조합간 사업경합 문제 해소를 통한 농협경제사업 투자실적 제고 및 농협 경제사업의 효율적 추진
- 조합원은 생산에 전념하고 농협이 책임 판매하는 판매농협 구현
⚫농협중앙회 책임판매 목표 : (‘11) 10% → (’20) 51%
- 경제사업 활성화 투자계획 : ‘12∼’20년까지 4.96조원* 투자
⚫농업경제 33,014억원, 축산경제 16,578억원

2. 토론내용
- 농협중앙회-조합간 사업경합 문제 해소 및 제도개선 사항
⚫양곡, 원예, 인삼, 사료 등 공동사업 확대 및 상생발전 강화 방안
* 양곡 공동판매센터(30개소 1,028억원), 원예조공법인 지분·대여투자(1,000억원), 조합마트공동투자(63개소, 2,034억원), 홍삼브랜드·마케팅 통합
⚫역할 분담, 공동사업화, 경제사업 이익의 조합 환원 방안
- 일선조합 경제사업 활성화·규모화에 관한 사항
⚫산지유통 규모화를 위한 마케팅 및 연합사업 촉진 방안
- 기타 농협경제사업 추진상황, 투자실적, 사업여건 변화에 따른 농협 경제사업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건의 사항
* 투자실적(실적/계획) : (’12) 1,028억원/4,035(25.5%) → (’13) 3,496/4,829(72.4%) (’14) 8,411/9,379(89.7%) → (’15) 7,279/8,669(84.0%)

3. 향후계획
❍ 온라인 정책포럼을 통해 수렴된 의견을 정리·분석하여 농협경제사업 활성화 세부사업 추진 시 활용

 
  • 참여기간 : 2016-08-01~2016-08-21(24시 종료)
  • 관련주제 : 교통 및 물류>기타
0/1000
계란 등급제도 활성화를 위한 생각을 들려주세요

계란 등급제도 활성화

계란 등급제도
계란 등급제도
농가에서 생산된 계란을 품질등급 기준에 적합하도록 선별·세척하고, 중량규격(크기)별로 선별한 후 외관·투광·할란 판정을 통해 계란 품질등급(1+, 1, 2)을 판정
 
안건 설명
 계란 등급제도는 껍데기의 상태, 내부 품질, 신선도 등 계란의 객관적인 품질을 평가하여 소비자가 계란을 구매할 때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로써 동물복지 인증, 무항생제 인증, 사육환경번호 등 계란의 생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와 함께 소비자에 계란의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구매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등급계란은 대형마트, 학교급식업체 등을 중심으로 유통되어 등급 계란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가 낮으며 계란 껍데기에 표시되는 사육환경번호를 계란의 품질 등급으로 오해하거나, 계란 중량을 구분하는 용어를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계란 등급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국민의 생각을 확인하고, 계란 등급제에 대한 국민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계란 등급제 활성화 방법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참여해주신 분 중 30분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모바일온누리상품권 5천원권을 드립니다.

총1,092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