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6월 24일 시작되어 총 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외부에서 발생한 쓰레기 어떻게 처리하죠?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위의 사진은 최근 기사화된 쓰레기로 얼룩진 부산 광안리 수변공원의 사진입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부산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서울의 한강공원, 어린이공원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그렇다면 이러한 '쓰레기 투기 문제' 가 꾸준히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 


   일각에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시민의식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한편으로는 쓰레기통이 수요를 충족하는 수준으로 공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 낮은 시민의식: "우리국민, 쓰레기를 스스로 처리하려는 책임이 없어"


 - 쓰레기통 공급 부족: "쓰레기통이 있었다면 제대로 쓰레기를 처리했을 것" 


●  쓰레기통 공급이 부족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


   한 구청관계자는 쓰레기통이 설치되면 무단투기가 잦아져 관리가 어렵다고 이야기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길거리 쓰레기통 옆에 누군가가 투기한 큰 쓰레기봉투를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무단투기의 증가와 미관상 해롭다는 이유로 쓰레기통 설치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갖는 관계자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즉, 쓰레기통을 공급하더라도 낮은 시민의식으로 인해 쓰레기통이 의도했던 용도로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국내, 외 사례참조)


   살펴본 결과 문제의 원인은 낮은 시민의식과 쓰레기통 공급 부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얽혀져 해결이 어려운 것에 있었습니다. 단순히 시민의식만 개선되길 바라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시민의식은 '제도개선'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민의식을 개선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다음은 국내와 해외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입니다


- 국내 사례: 서초구에서는 커피컵모양의 쓰레기통을 제작했습니다. 스타벅스, 엔젤리너스, 커피빈, 파리바게트 등의 기업과 협업하였습니다. 또한 수거되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사회기부금이 적립되도록 하여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에게 친숙한 디자인으로 '쓰레기통'의 이미지를 개선하였다는 것에도 의미가 있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파리바게트 커피컵 모양의 재활용 쓰레기통. 서초구 위치>


- 해외 사례: 가장 깨끗한 나라라고 불리우는 싱가폴은 길거리에 쓰레기를 버리면 엄청난 벌금을 물어야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러나 싱가폴은 엄격한 단속을 시행하기에 앞서 시민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블럭마다 몇 개의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을 뿐 아니라 가로등에 쓰레기통을 연결하는 등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 올바른 쓰레기 처리를 유도하는 문구. 싱가폴>


앞에서 소개한 사례들을 확대함으로써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쓰레기에 대한 시민의식을 개선하고 더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