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6년 04월 30일 시작되어 총 3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우리가 사는 곳 주변에서 이러한 로고를 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아동안전지킴이집'이라는 것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아십니까?


아동안전지킴이집이란 2008년 경기도 안양시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유괴, 살인 사건 이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강력 범죄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우리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입니다. 이는 학교주변이나 통학로, 문구점, 편의점, 약국 등을 아동안전지킴이집으로 지정하여 위험에 처한 아동들을 임시보호하여 경찰에 바로 인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역주민과 경찰이 함께 협력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들을 예방한다는 좋은 뜻을 갖고 있으며, 잘 운영된다면 범죄예방 및 보호에 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아동안전지킴이집이 어딨는지  또 무슨 역할을 하는지 제대로 홍보가 되지 않고 있어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이 생기며, 입간판이나 로고가 주차장 표지판으로 전락하거나 관리가 제대로 되지않아 식별이 불가능하여 아동들이 지킴이집을 확인할 수 없다는 지적까지 제기 되고 있습니다.


또한 아동안전지킴이들의 업무에 대한 이해 부족, 책임감 결여로 제도의 실효성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아동안전지킴이집 제도는 기존에 한정된 경찰력 위주의 치안정책만으로는 효과적이고 세밀하게 아동범죄를 대처하고 예방하는데 한계를 느껴 지역주민과 경찰이 협력하여 아동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미가 큰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좋은 제도가 관리부실이나 교육과 홍보 부족으로 형식적인 제도로만 자리매김 하는 것 같아 매우 안타깝습니다. 


아동안전지킴이집 제도에 대하여 학기 초 아동들과 학부모에게 홍보를 하고 교육을 실시하며, 책임감있는 아동안전지킴이를 선정할 수 있도록 선정과정에서 면접을 시행하고 그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적절한 관리감독 등을 통하여 형식적 제도가 아닌 실질적 효과가 있는 제도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참고문헌:
김정규, 김문호 (2015). 아동안전지킴이 제도의 실효성 향상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김상운, <아동안전지킴이집 운영 개선방안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33권, 2012
안전Dream 사이트 아동안전지킴이집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