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세는나이 ’ 를 계속 써야 할까요?
어김없이 새해가 밝았고, 새해가 올 때마다 한 번씩 언론에서 다루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 세는 나이 ’ 인데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듯이, 태어난 해를 첫째해로 해서 해가 지날 때마다 햇수를 올리는 셈법입니다.
우리가 당연하게 사용하는 ‘ 세는 나이 ’ 를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만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원래 이러한 셈법은 중국에서 유래하였고, 그 영향에 있던 동아시아 몇 개 국가에서 사용했으나, 한국을 제외한 국가에서는 이를 모두 폐지하여 현재 ‘ 세는나이 ’ 를 쓰는 국가는 한국뿐입니다.
국제적인 셈법인 ‘ 만 나이 ’ 가 아닌 ‘ 세는 나이 ’ 를 쓰는 비효율은 상당합니다. 외국에서 여행하거나 생활하는 경우 ‘ 만 나이 ’ 와 ‘ 세는 나이 ’ 를 혼동하여 사용하였다가 괜한 의심을 받거나 유치장 신세를 지는 사례까지도 있다고 합니다. 외국인과 소통하거나 사업을 하는 경우에도 끊임없이 내 나이에서 몇을 빼야 하는지 , 내 생일이 지났는지 등을 그때 그때 따져봐야 하는 비효율이 있지요. 한 달 차이로 나이가 갈리고, 거기에 한국 특유의 ‘ 빠른 생일 ’ 까지 맞물려 대학교 내에서 호형호제를 함부로 못한다던지, 서로의 관계가 뒤얽혀 족보를 꼬이게 만든다는 뜻의 ‘ 족보브레이커 ’ 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를 쓸 때에도 특별히 요구하는 사항이 없이 나이를 적으라 하면 무엇을 적어야 할지 갈팡질팡하기도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 역시 공식적으로는 ‘ 만 나이 ’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법의 왕이라고 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법 체계 전반을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 158 조 ( 연령의 기산점 ) 에서는 ‘ 연령계산에는 출생일을 산입한다 ’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모든 법에서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몇몇 예외는 존재합니다). 하지만 사회에서 통용되는 나이는 여전히 ‘ 세는 나이 ’ 이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지요 .
최근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전국 5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 세는 나이 ’ 를 유지하자는 응답이 46.8%, ‘ 만 나이 ’ 로 통일하자는 응답이 44.0% 로 나왔는데요. 아마 한국에서는 나이 한 살에도 서열이 갈리고, 이에 따른 호칭과 존댓말 사용이 뒤따르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만연한 사회문제 중 많은 부분의 기저에는 이렇듯 유교문화에서 비롯된 경직된 상하관계와 서열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많습니다. 행정적인 비효율을 막고 사회문화의 개선까지도 노려볼 수 있는 ‘ 만 나이 ’ 사용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 장려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 시민입니다.예전부터 저는 만 나이를 두고 세는 나이가 왜 사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 유교의 시작지인 중국에서는 왜 진작부터 세는 나이 사용을 금지했을까요?만 나이만 사용하자는 인식 전환을 위해 비용이 많이 들까요?전산 상이나 문서 상으로 혼란을 줄 수 있다고 가정해 볼 경우, 대한민국의 모든 공적/사적 서류에는 법적 나이인 만 나이만 사용되고 ...
... 경우 출생년도도 함께 표기해 주세요. 우리나라는 외국과 나이표시 방식이 달라 세는 나이, 만 나이 등 2~3가지 방식이 혼용되고 있어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때가 많습니다. 의정부시 홈페이지의 첫 화면 팝업창 게시글을 보면 11개의 게시글 중 4개의 글이 만 나이 혹은 그냥 나이로 표시되어 있고, 만 나이와 함께 출생연도가 표시된 게시글은 1개에 불과합니다. 시 ...
... 돈을 따로 더 내게 하는 것은 많이 부당합니다.3. 노인장기요양의 경우, 너무 많은 세금이 세는 것 같습니다. 저도 노인복지를 했습니다. 저는 돈을 쓰고 복지를 했습니다. 저는 상 받아야 ... 세금이 세고 있습니다. 강경하게 밀어 붙여서라도 대대적인 제도 개혁이 필요합니다.4. 제가 나이가 들면서 참 세금이 많구나, 어려운 사람들한테는 많이 부담이 되는구나 하는 ...
... 한 살이 되고 한해가 지날때마다 한 살씩 나이를 먹는 한국식 나이 셈법 ‘세는 나이’, 태어난 날부터나이를 계산하는 ‘만 나이’, 그리고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는 ‘연 나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나이 셈법은 일상생활에서 크고 작은 불편함을 안깁니다. 한국식 나이 셈법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주로 만 나이를 사용하는해외에서도 어려움을 겪을 ...
... 생활하는 경우 ‘ 만 나이 ’ 와 ‘ 세는나이 ’ 를 혼동하여 사용하였다가 괜한 의심을 ... 하지만 사회에서 통용되는 나이는 여전히 ‘ 세는 나이 ’ 이기 때문에 혼란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지요 .최근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전국 52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 세는나이 ’ 를 유지하자는 응답이 46.8%, ‘ 만 나이 ’ 로 통일하자는 응답이 44.0% 로 나왔는데요. 아마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