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5년 08월 27일 시작되어 총 22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기상청의 국내외 기후ㆍ기후변화 정보 제공 강화를 위한 전략
◎ 배경 및 목적
- 현재 생산되고 있는 기후정보는 기후변화 시대에 걸맞게 대국민, 정부기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지만, 상황은 그러하지 못함
- 국가 기후정보서비스 정책을 선도하고 수요자 맞춤형 신(新)기후서비스 고도화로 기후재난을 최소화하여 삶의 질 향상
 
◎ 현황 및 문제점
- 기후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기후변화정보센터, CCIC)를 운영 중에 있지만, 2006년에 구축된 시스템으로 노후화로 인해 문제가 자주 발생
※ K-GEO, CORDEX-EA 등 기후정보에 대한 국내의 통합 서비스 필요
- 대국민, 정부기관, 산업 등 다양한 사용자가 보다 쉽고 신속하게 기후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수준의 포털서비스 체계로 개편할 필요가 있음
 
◎ 목표
- 기후감시·기후변화 정보 기반의 국제적 ‘기후정보포털’ 서비스 구현
 
◎ 연도별 추진방향
- 2015년: 기후변화정보센터 보강을 통한 기후정보포털의 기반 마련
* UI 개선 및 콘텐츠 강화, 웹 접근성 및 휍 호환성 준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제공 체계 변경 등
- 2016년: 국내외의 기후정보의 수집, 저장, 연계 등 기후정보통합 체계 구축
* KGEO, CORDEX 등의 각 사이트 연계 방안 제시 및 구현 등
- 2017년: 사용자 중심의 기후정보 검색 시범 서비스 체계 구축
* 기후변화지식(국내외 기후정책 관련 등), 지구환경변화, 기후변화시나리오 등의 정보 검색
- 2018년: 신(新)기후서비스 체계 기반의 기후정보포털의 통합 서비스 구현
 
◎ 정책토론 개요
- 토론기간: 2015. 8. 28.(금) 〜 2015. 9. 11.(금)
- 토론내용: 기후정보포털 구축을 위한 바람직한 전략
- 향후계획: 대국민 의견수렴 결과 공개 및 2016년도 사업계획 수립 시 수렴된 의견 적극 반영
 
  • 참여기간 : 2015-08-28~2015-09-11(24시 종료)
  • 관련주제 : 고용노동>기타
0/1000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