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1 : 소비자 대상 GAP 홍보 방안◇ 우리부는 『웰빙ㆍ안전ㆍ개방화 시대 GAP 농산물 확산 방안』을 마련하여 발표하고 추진하고 있으나, 소비자, 농산물 유통관계자들에 대한 인지도가 미흡하여 정책추진 효과가 미흡
⇒ 소비자ㆍ유통관계자ㆍ급식관계자 대상 GAP 개념과 확산 방안에 대한 홍보 방안 마련 필요
과제 2 : GAP(농산물우수관리) 개념 바로 알리기 홍보 방안◇ GAP(농산물우수관리제도)제도는 HACCP(안전관리식품) 인증과 유사한 개념의 위생안전관리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GAP 인증제도의 정체성이 불명확한 것으로 소비자가 인지함
⇒ GAP제도의 도입 목적과 개념을 소비자에게 정확히 알릴 수 있는 홍보방안 마련 필요
■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농산물우수관리) 제도 개요란?재배환경, 재배과정, 수확·수확 후 관리, 저장과정 중에 혼입될 수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최종 생산 농산물에는 위해요소가 없거나 있어도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로 관리되어 안전성이 확보된 농산물을 공급하는 합리적 제도입니다.
ㅇ 중점 관리 사항
- (생산환경관리) 재배지역의 토양과 수질 등이 깨끗한 지역
- (재배관리) 농약, 비료 등을 안전기준에 맞게 사용
- (수확관리) 위생적인 수확 후 관리시설에서 선별, 포장
- (위해요소관리) 생산농산물에 대한 연1회 농약, 중금속 분석
- (이력추적관리) 생산에서 판매까지 전 과정을 기록, 정보제공
■ GAP 인증 현황❍ 136개품목, 인증건수 2689건, 참여농가 46,323호, 재배면적 58,763ha(‘15.1월기준, 전체 경지면적의 3.4%수준 )
■
'14년도 각종 국가인증제도 인지도 조사 결과(케이이비아리서치) 구분 | 사례수 | 종합 인지도 | 유기 가공 식품 | 친환경 농산물 | 전통 식품 품질 | 식품 명인 | 지리적 표시 | GAP | HACCP | 가공 식품 KS | 동물 복지 | 저탄소 |
2014년(A) | 1,200 | 61.7 | 79.8 | 92.8 | 29.6 | 33.3 | 41.8 | 57.4 | 71.1 | 88.0 | 27.5 | 47.5 |
2013년(B) | 1,200 | 56.3 | 77.5 | 89.5 | 26.8 | 21.3 | 35.4 | 42.8 | 69.9 | 86.8 | - | - |
A-B | 5.4 | 2.3 | 3.3 | 2.8 | 12.0 | 6.4 | 14.6 | 1.2 | 1.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