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04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산채류의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를 위한 임간과 시설 재배의 조화
** 생각의 완성 요약**
산채류 재배방식에 대한 설문조사와 토론 결과, 임간재배와 시설재배 모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 시설재배 : 기후와 무관하게 안정적인 생산과 위생적인 품질 관리 및 대량 공급이 가능
- 임간재배 :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며 자연의 향과 맛을 살릴 수 있고, 건강과 친환경적 가치를 담은 특화 먹거리로서의 의미를 가짐

소바지는 생산방식보다 품질, 안전, 지속가능성을 더 중시하며, 응답자의 83%가 산채류를 미래 먹거리로 매우 가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토론 참여자들은 환경적 시각과 사회적 시간에서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 환경적 시각 : 산채류 재배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고려해야 함.
- 사회적 시각 : 고령화와 도시 인구 확대 속에서 시설재배는 안정적 공급을, 임간재배는 차별화된 가치와 틈새시장 대응에 적합함

** 연구에의 반영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임간재배 기술을 중심으로 산채류의 생육특성, 재배 관리 기술, 기능성 탐색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6년부터는 스마트팜 기반 시설 재배 연구로 확장합니다.
이번 국민 생각함에서 확인된 의견을 기존 과제와 신규과제에 참고하고자 합니다.

1. 임간재배 기술 연구(기존 연구 과제)
  가.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자연의 향과 맛, 생태계 보전, 건강가치에 대한 국민 기대를 반영
  나. 임간재배 산채류의 특성을 살린 고부가가치 모델 개발 및 틈새 시장 전략 구체화 

2. 스마트 시설 재배 연구(신규 연구 과제)
  가. 국민이 중요하게 꼽은 안정적 공급, 위생, 표준화된 품질을 위한 기술 개발을 연구 설계에 참고
  나. IoT 센서, AI 기반 환경 제어를 활용해 연중 안정적 생산 모델을 구축

3. 융합적 연구 방향
  가. 임간재배와 시설재배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산채류 재배 모델' 강구
  나. 데이터 기반 재배 매뉴얼을 마련하여 국민이 원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 체계로 발전

---

이번 국민생각함을 통해 수렴된 의견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특용자원연구과에서 추진하는 과제에 충실히 반영할 것이며, 이를 통해 산채류가 기후위기 대응과 식량 안보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임산물 먹거리로 자리 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