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7월 31일 시작되어 총 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건강한 산림을 오래오래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떤 산림위성이 필요할까요?
산림청 님의 생각
2025.07.31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산림청님의 의견정리2025.09.11
1. 활용방안 추가
- 한반도 규모의 장기모니터링
-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및 기후변화 대응: 산림변화 신속한 대응, 탄소 흡수량 측정
- 재난활용
- 탄소보고체계 구축
- 생태계 건강 진단 체계 마련

2. 센서사양 개선
- (공간/분광) 해상도 향상(초분광)
- 라이다(LiDAR) 센서(L-밴드, P-밴드)

3. 기타
- 관측주기 증대(실시간 또는 1일 1회 이상)
- 소형 위성 군집운용
- 자료의 개방형 플랫폼 제공
국립산림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에서는
산림위성정보 제공과 후속위성 기획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대한민국의 첫 산림 관리 목적을 가진
차세대중형위성 4호(농림위성)가 발사될 예정입니다.

차세대중형위성 4호는
- 매일 오전 11:00 전후로 한반도를 지나가며
- 120㎢ 영역 안의 5m 물체가 점으로 보이는 컬러·근적외 센서로
산림을 촬영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후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를 위해
후속 산림위성에는 어떤 임무/기능/성능/사양이 필요할지에 대해
모두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