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25년 05월 20일 시작되어 총 59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우리는 왜 식물계절을 관찰해야 할까요?
산림청 님의 생각
2025.05.20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산림청님의 의견정리2025.06.16
본 안건은 식물계절과 계절 변화 인식에 대한 국민 설문조사 결과로, 총 4개의 문항에 대한 응답 내용과 자유서술형 의견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올해 계절 변화에 대한 체감 사례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이상기후 현상들을 체감했다고 서술했습니다.
- 개화 시기의 변화: 벚꽃 개화가 예년보다 빨라졌다는 지적이 여러 건 제기
- 기상 이변: 봄철 강수 부족, 이상 고온 현상, 갑작스러운 한파 등 날씨의 극단적인 변화가 주요 이슈로 언급
- 식물 피해: 목련 등의 봄꽃이 기상 변화로 인해 제대로 피지 못하거나 일찍 시드는 현상이 언급
- 기후변화 실감: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일시적 이변이 아니라 점차 ‘기후화’(기상이변이 일상화되는 현상)되고 있다는 우려가 표출

2. 계절 변화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식물 및 자연 현상
응답자들은 계절을 나타내는 자연의 지표로 다음과 같은 사례들을 들었습니다.
- 봄: 벚꽃, 개나리, 매화, 산수유, 진달래, 목련, 철쭉 등의 개화 시기
- 여름: 장마 시작일 및 기간, 열대야 일수, 구상나무 관찰
- 가을: 계수나무의 향기와 단풍, 단풍 색 변화
- 겨울: 설경의 아름다움

3. 국립수목원의 식물계절 예측지도 제작 인지도
응답자의 60%가 국립수목원이 2009년부터 제작·배포 중인 개화/단풍 예측지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고, 40%는 모른다고 응답.
이는 정책 홍보 및 국민 인식 확대가 여전히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함.

4. 국민이 식물계절 관찰 활동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
응답자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기후변화 대응의식 고취(43.9%): 기후변화 영향을 체감하고 대응에 참여할 수 있어서
- 자연과 계절에 대한 이해 증진(18.2%)
- 가족 단위 체험 활동으로서의 유익성(10.6%)
- 시민 과학의 기여: 개인이 기록한 자료가 과학 및 정책에 활용될 수 있음(24.2%)
기타 의견으로는 “우리 삶과 밀접한 문제”이며 “가까이서 자주 관찰하는 사람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위 설문 결과는 기후변화가 일상 속에서 점차 체감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 식물계절 변화 관찰의 중요성과 국민 참여의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관찰 활동이 단순한 취미를 넘어 정책과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 과학(Citizen Science)’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정책적 활용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가 요청됩니다.
여러분은 봄꽃이 예전보다 빨리 피고, 가을철 단풍이 늦게 드는 것을 느껴본 적 있으신가요? 우리나라 자연환경은 기후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먼저 알려주는 '식물계절현상(개화, 낙엽 등)'을 국민 여러분과 함께 관찰하고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국민이 생활 속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기록된 자료는 기후변화 연구와 정책 수립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45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필수] 올해 계절 변화에 관해 체감한 사례가 있다면 적어주세요.
  • 질문2. 우리 생활에서 계절 변화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식물이나 자연 현상은 무엇일까요?
    예) 봄철 벚꽃 개화, 가을철 단풍 등
  • 질문3. [필수]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2009년부터 우리나라의 식물계절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화/단풍 예측지도를 정기적으로 제작하여 배포한 것을 알고 계셨나요?
  • 질문4. [필수] 식물계절 관찰 활동에 국민이 왜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