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10월 16일 시작되어 총15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농약원제 국산화에 관하여"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촌진흥청님의 의견정리2018.11.13


 농약원제 국산화는 국내 신약개발만큼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사람이 병원에 가서 약을 처방받는 것처럼, 작물도 농약이라는 약이 꼭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생명산업인 농업에서 반드시 필요한 농자재인 농약원제의 국산화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도 민간기업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2016년까지 6개 성분에 대해 개발을 완료한 성과로 나오고 있습니다.  다국적 기업의 원제가 금액기준으로 99.3%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에서는 많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앞으로의 농약원제 국산화 연구 주체는 기업 같은 민간단체에서 주최할지 국가기관 또는 정부출연연 등에서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앞으로 정리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연구 주체는 단기간의 성과가 나오기 어려운 분야인 새로운 원제를 개발을 해야 하므로 연구의 비용과 성과 관리에서도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연구의 비용과 성과 관리도 이전의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농약원제 국산화에 찬성을 하신 분은 농약원제 개발의 중요성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 주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반대를 하신 분은 농약원재 개발의 실패 가능성과 실패했을 경우의 어려움, 비용의 회수, 투입자원의  우선순위 등의 우려로 반대를 하셨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두 의견이 모두 국내 농업 발전에 대한 애정이고 다양한 관심의 표현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농약은 농업에 필수적인 농자재입니다.


국민의 먹거리 생산에 매우 중요한 제품임에도, 국내에서 개발된 원제로 만들어진 제품은 많지 않습니다. 국내 농약 시장은 1조 4천억 원이고, 이 중 국내 사용 원제 자급률은 3.7% 수준이라고 합니다(2015년 기준).


이러한 상황이므로, 국내에서 농약을 사용할수록, 관련 로열티는 해외로 지급됩니다. 국내에서 신약과 작물의 품종을 개발하는 것만큼이나, 농약 원제의 개발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사용자업로드이미지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12│ 실시기간 : 2018-11-11~2018-11-12
농약 원제의 국산화를 찬성합니다. 8명(66.66%)
농약 원제의 국산화를 반대합니다. 4명(33.33%)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