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후 수익창출 시점까지의 초기정착 지원 필요(최저생계비, 교육훈련비 등)
4명(28.57%)
지역별 특성과 관심분야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맞춤형 멘토-멘티제도 활성화
2명(14.28%)
지역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완화 및 융화지원 프로그램 강화
3명(21.42%)
문화공간, 육아보육 및 교육시설, 지역안전 네트워크 등 사회적인프라 구축
1명(7.14%)
농촌생활이 본인의 삶에 적합한지 충분히 고민할 수 있는 교육 제공(실패사례, 농촌문화 교육 등)
2명(14.28%)
청년귀농인과 지자체간의 활발한 소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1명(7.14%)
1인가구 여성이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여성기숙사 조성, 치안센터 등 안전인프라 구축
1명(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