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식용곤충산업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된 4가지 의견(1. 홍보 및 체험행사 실시, 2. 식용곤충 영양학, 건강학적으로 이로운 점, 3. 다양한 메뉴개발, 4. 콘텐츠 개발) 에 대한 투표 결과 곤충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및 체험행사 실사가 가장 많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이 의견을 반영하여 '19년에는 곤충의 날 지정, 민간합동워크숍 개최, 곤충요리경연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와 함께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활용할 수 있는 콘덴츠를 개발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식용곤충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았습니다.
제시된 의견으로
1. 곤충을 식재료로 인식될 수 있도록 홍보 및 체험 행사 실시
2. 식용곤충 영양학, 건강학적으로 이로운점 연구
3. 어린이부터 노년기까지 먹을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개발 및 출시
4. 곤충식품 우수점을 알릴 수 있는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의견을 반영하여 곤충산업을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여러분의 식용곤충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을 투표하여 주시면 우선적으로 반영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많은 참여바랍니다.
국민생각함 정책제안서제안 제목어린이청소년 K-Happy Mental Care: 생애주기 맞춤 정신건강 및 복지정책 강화제안 분야보건복지 / 교육 / 청소년정책 / 지역사회 활성화제안 취지 및 목적현재 대한민국 아동과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행복지수는 OECD 국가 ... 제안 대상 기관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교육부, 서울특별시, 농림축산식품부, 청소년보호위원회 ...
... '곤충산업법' 시행령 [별표2]에 유통 및 판매 가능한 곤충(150여 종)을 지정그중 곤충 7종( 메뚜기, 백강잠, 식용누에, ... 수 있도록 등록되어 있고,'16년 1,261개소였던 곤충 농가가'17년 2,136개소로 크게 증가하고 있어식용곤충산업을 활성화할 방안이 필요한 상태입니다.이에 따라, 우리부에서는 식용곤충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국민 여러분께서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여 ...
○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수출진흥과에서는 국내 스마트팜 수출 기업의 수출 활성화 및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아래와 같은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외 수출거점 마련을 위한 시범온실 조성 및 교육- k-스마트팜 로드쇼 및 박람회 참가 지원- 법률 및 회계 컨설팅 지원- 해외 수주 프로젝트를 위한 컨소시엄 수주지원- 소규모 온실 실증을 위한 구축 비용 지원○이 ...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기능성 양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제4차 곤충 및 기능성양잠 육성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이와 관련하여, 국민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를 추진하고자 하오니, 연구내용 보완사항 등에 대한 소중한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연구과제 : ...
... 개최하였습니다.디톡스테라피 거점센터 건립은 2019년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 신활력플러스 사업에 선정된 이후,2020년부터 2025년까지 6년간 단계적으로 추진된 사업의 성과입니다.센터는 디톡스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특화상품 판매, 지역 공동체 활동 공간 등을 목적으로 활용될 계획이며,명상요가티클래스먹기명상 등 치유 힐링프로그램 활성화의 거점이 될 것으로 ...
... 농림축산식품부ㆍ산업통상자원부ㆍ보건복지부ㆍ고용노동부ㆍ여성가족부ㆍ국토교통부ㆍ해양수산부ㆍ중소벤처기업부ㆍ국가안보실ㆍ국가정보원ㆍ국무조정실ㆍ경찰청ㆍ국군방첩사령부 및 17개 광역지자체□ 「2025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시행계획」은 지난해 수립된 「제4차 정착지원 기본계획」을 토대로 올해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분야 정책과제를 45개 세부 ...
... 농림축산식품부는 미래의 주요 식량자원, 농가 소득증대 산업으로 주목받는 곤충 산업 육성 및 지원을 위해 "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올해로 마무리되는 제2차 곤충산업, 양잠산업 육성 종합계획의 성과와 보완점을 분석하며, 제3차 곤충양잠산업 종합계획의 추진과제를 준비하는 가운데,"국민생각함"을 통해 관련 법령 ... 주신 좋은 ...
... 원예단지 자본ㆍ기술집약 첨단시설원예, 스마트 노지재배 등 종자생명단지 고품질 종자 개발ㆍ보급, 육종ㆍ채종, 수출 등으로 미래성장산업으로 육성 복합곡물단지 안정된 식량기지 확보, 밀ㆍ콩 등 재배로 자급률 제고 기능성작물단지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연계한 기능성 식품 원료작물 생산 유기농업ㆍ조사료단지 유기가공식품 원료생산 등 친환경 유기농업단지,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