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효능과 우수성, 레시피 등 활용방법 홍보 강화 및 소비 확대 지원
17명(45.94%)
기능성 소재개발 및 제품개발 연구를 통한 브랜드 육성 지원
7명(18.91%)
GAP 인증, 유기농 인증, 잔류농약 검사 등 생산단계 안전성 지원 및 재배시설 현대화 지원
2명(5.4%)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생산, 가공, 체험과 연계한 6차 산업화 지원
4명(10.81%)
기능성 식품원료로의 까다로운 인증절차, 효능 광고제약 규정 등 제도개선
4명(10.81%)
유통망 확충 및 유통단계 간소화를 통한 유통 효율성 제고
1명(2.7%)
신품종 종자 육성 및 재배기술 지원
2명(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