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11월 28일 시작되어 총1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4차 산업 혁명 대비 정부 조달방식, PPI로 개선!
이 생각은 "4차 산업 혁명 대비 정부 조달방식, PPI로 개선!"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조달청님의 의견정리2019.01.03

사전 의견수렴을 통해 공감대가 형성된 혁신성장 분야를 선택하고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해 임하겠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 중 '혁신성장'은 최대 화두입니다. 최근의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께서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업혁신과 드론산업 분야에 있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 정책과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이 사업들은 모두 4차산업혁명시대에 각광받고있는 분야입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부의 대응 역할에 대해 많은 국민이 미래 핵심 기술 개발과 관련 산업분야의 성장을 지원하는 공급지원 측면으로만 생각하시지만, 공공구매력을 이용, 혁신 기술들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수요지원(공공시장을 통한 판로지원)도 정부가 할 수 있다는 것은 잘 모르고 계십니다.


조달청은 정부물품공급계약을 담당하는 부서로 4차산업혁명을 이끌어갈 국내 혁신 기술 기업의 상품이 공공기관에 적용되는데 직접 개입할 수 있는 정부중앙기관입니다.


조달청은  기존 상용화 물품만을 구매계약하는 것에서 탈피해, 미래 국가 먹거리가될 혁신기술산업에 대해 기술 개발 지원을 넘어 실재 구매 시장, 상품 테스트 시장을 제공해줄 수 있지 않을까? 이를 통해 신기술 상품이 민간에 파급될 수 있도록 초기 판로 개척 단계에서 지원해줄 수 있지않을까?

고민해왔습니다.


그런 고민 끝에 '4차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과 혁신 신시장 창출을 위한 정부 조달 방식 개선'이라는 주재로 2017년 조달청 국민디자인단을 꾸려 각계 전문가와 조달업체 대표, 수요기관 담당자, 민간 국민 대표를 모아 아이디어 회의를 1년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형공공혁신조달(조달청 테스트베드 형식의 PPI) 모델을 만들고 실현 방안을 도출했습니다.


1년의 회의 결과를 공개하고 관련분야 전문가와, 혁신기술개발 업체, 수요기관 담당자, 국민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정책 실현의 올바른 방향을 다듬고, 정책 추진의 동력을 얻고자합니다.


많은 의견부탁드립니다.

투표 결과
총 참여인원 : 7│ 실시기간 : 2018-12-12~2018-12-19
기존 R&D 성과물과 공공수요를 메칭하는 혁신조달 1명(14.28%)
업체가 개발한 상용화 직전의 혁신기술 제품과 공공수요를 메칭하는 혁신조달 3명(42.85%)
혁신기술 수요를 먼저 제안하고 개발에 참여할 기업 공모를 하는 방식의 혁신조달 3명(42.85%)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