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촌에 필요한 복지서비스에 대한 투표를 실시하였습니다.
총 223명이 투표에 참여하셨고, 투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소득지원 84명, 2. 의료 72명, 3. 여성보육 17명
4. 문화 15명, 5. 다문화 7명, 6. 기타일상생활지원 28명
투표와 더불어 댓글을 통해 많은 의견을 주셨습니다.
79건의 댓글이 달렸는데, 투표와는 달리 의료지원과 교통문제를
많이 말씀해주셨습니다.
농촌지역이 고령화 됨에 따라 위의 모든 내용들이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참여해주신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농촌지역은 인구가 적을 뿐 아니라 넓은 지역에 거주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의료, 복지, 문화 등의 서비스가 많이 부족한 형편입니다. 현재에도 여러 정부부처에서 다양한 농촌지역 복지서비스 제공하고 있지만, 우선적으로 필요한 복지서비스는 무엇인지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현재 정부에서 다양한 농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도 부족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 농촌주민들이 많습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촌 주민에게 도움이 되는 복지서비스를 정리한 2016년 농촌복지서비스 가이드북을 제작하였습니다. 다양한 복지서비스 제공에도 불구하고 농촌지역에 사는 나에게 가장 필요한 복지서비스는 무엇인지에 ...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보건복지부(18)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아동권리보장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재 ...
자연보호구역으로 설정된 땅들에 체류형쉼터말고 일정부분 용도변경을 허가하여 주거목적으로 바꿔야 집값안정되지 않을까요? 무분별한 투기와 개발을 막기위해 무주택자에 한해 허가해주면 좋을거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청년들, 무주택자들이 갈곳,살곳이 생기고 노후되고 가기 꺼려하는 농촌소멸도 막고, 그린벨트의 취지도 지킬 수 있을것 같다는 짧은 생각을 해봤습니다.
... 관심 있는 젊은 청년이 찾아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농업농촌 소멸을 막기 위한 여러분들의 테마가 있는 마을 좋은 ... ----------------------------------------------------------------------------농업농촌 소멸을 막기위한 테마가 있는 마을과 활성화 사업을 위해서는 ... 사회적협동조합 구성 시 특화농업 뿐만 아니라, 획기적 문화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 할 수 있도록 사무장 등 인적, 물적 ...
... 일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의 손과 땀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임업인들이 줄어들고 농촌, 산촌 인구고령화도 심각합니다.또한 높은 경사, 무거운 나무, 반복적인 작업… 이 모든 것이 점점 더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죠.그래서 필요한 것이 ‘첨단 기술’입니다.양묘장에서 묘목을 키우는 데 드론이 쓰인다면?조림 작업에 GPS 기반 자동 식재기가 ...
... 경우가 많아 현실적인 어려움이 매우 많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장애인 등록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많아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곤란할 때가 많습니다. 장애가 있지만 대한민국의 까다롭고 빡빡한 장애인 등록제도로 인해 장애인 등록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며 장애인으로서의 복지, 배려를 받기는커녕 비장애인 급의 사회적인 기대를 ...
... 부분이 대기에 모두 포함되는 계념이다" 라고 하였습니다.응급의료법 시행규칙 규정을 정하는 사람은 보건복지부장관이 맞습니다. 그러나 전례에 정한 규정을 정당한 입법 심사 과정을 거치지 아나히고 독자적으로 재해석하여 당사 공공기관을 변호하거나 다른 이해관계가 있는 공공기관을 변호하면 안됩니다. 이러한 부분을 월권행위라고 하며 직권남용에 따르는 ...
... 지역 서비스공동체 사업 ]ㅇ목적- 농식품부는 2022년부터 농촌 지역주민에게 돌봄, 건강관리, 교육 등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서비스 공동체 사업'을 지원하고 있음ㅇ 내용- 대상 : 농촌주민, 보건소 등 의료기관, 사회복지기관, 민간업체 등과 코디네이터가 결합하여 지역주민에게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체 단위- 조직 구성 : 지역 복지기관, 의료기관, ...
남은시간 60초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