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획증명관리어플 참여율 및 인식 증진 홍보방안을 위한 투표
1. 배경
국제사회의 90년도부터 IUU어업(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근절과 지속가능한 수산자원 관리를 위해 어획물의 포획, 운반, 양륙, 유통 전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맞춰 해양수산부는 한국형어획증명관리제도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고 그 중심에는 "총허용어획량제도(TAC)"*가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총허용어획량제도(TAC)"가 완전하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조업실적의 정확한 보고와 괸리를 요구되었고 이에 해양수산부는 디지털 보고 체계 구축이 필수라고 판단하여 "어획증명관리어플"**을 만들게되었습니다.
* 총허용어획량제도(TAC) : 개별어종(단일어종)에 대한 연간 잡을 수 있는 어획량을 설정, 그 한도내에서만 어획을 허용하는 수산자원 관리제도
** 어획증명관리어플 : 어획보고부터 유통까지 전 과정을 디지털 방식으로 보고 및 처리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모바일 어플
2. 현황
지속적인 홍보가 되고 있으나 어획증명관리어플 설치는 TAC 참여어선, 어업규제완화 시범사업 참여어선, 수산직불제, 수산자원보호 직불제 참여어선 등 에 국한되있으며, 이 외 미참여 어선들의 참여율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또한 설치가 되었더라도 어업인들의 고령화에 따른 디지털 기기의 친숙화 부족으로 어플을 제대로 활용 못하고 있습니다.
3. 투표 목적
어획증명관리어플에 대한 참여율 및 인식증진을 위한 국민분들의 생각을 듣고, 눈높이에 맞춰 효과적인 홍보방안을 수립하기 위함입니다.
4. 투표 내용
홍보방안 투표 요약
| 번호 |
투표내용 |
장/단점 |
| 1 |
어촌계 및 주변 공공기관 홍보 포스터, 현수막 부착 |
<장점>
<단점>
|
| 2 |
정기적 어업인 모임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 |
<장점>
<단점>
|
| 3 |
수협 사무실, 위판장 등 어업인이 자주가는 장소에 어획증명관리어플 체험할 수 있는 소형 태블릿 비치 |
<장점>
<단점>
- 장소 협의 및 도난 문제 등 부가적 문제 발생
|
| 4 |
간단한 사용법이 적힌 리프렛 배부 및 홍보물에 사용법 적힌 스티커 부착 |
<장점>
<단점>
|
* 이 외 의견이 있으신분은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