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22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방안"에서 출발하였습니다.

1. 농가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환경 개선

  - 환경에 대한 농가 인식 전환을 위해 교육 실시
2. 축산농장의 사육두수를 기준으로 한 사육밀도 개선

  - 사육밀도 개선을 위한 관계부서와 협의
3. 컨설팅, 교육을 통한 체계적인 사후관리 구축

  - 지자체, 생산자단체, 연구기관, 축산환경전문기관  등과 협조 체계 마련 
4.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시 악취저감시설 필수 설치

  - 가축분뇨처리지원사업 지침에 신규시설설치시 반영하여 실시 하고  있으며 기존시설에 대해서는 교육을 통해서 개선하고자 함
5. 지원정책과 단속업무의 일원화 체계 구축(환경부와 협조 체계 마련)

  - 환경부 유역총량과와 정기적 회의를 통해서 진행하고 있음

0/1000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방안

□ 국민들로부터 사랑받지 못하는 축산은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 속에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추진 대책’ 마련·발표(17.1월)

 ○ 냄새관리 등 국민들이 관심 있는 근본적인 축산환경 개선 필요
 ○ 동물복지와 가축위생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어 축사 청결 관리 등 축산농가의 사육 및 농장관리 방식 전환이 요구되고, 특히 농장주의 의식전환이 필요한 시점

□ 농식품부는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추진대책”에 따라 ‘25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1만호 선정을 위한 세부추진계획 수립

  * 연차별 지정 : (’17) 1,000호 → (’22) 5,000 → (’25) 10,000
 ○ 깨끗한 축산농장 개념 정립, 지정·평가지침 마련


  ☞ 깨끗한 축산농장이란 : 가축의 사양관리(사육밀도), 환경오염 방지, 주변경관과의 조화 등 축사 내·외부를 깨끗하게 관리하여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가축분뇨를 신속·적정하게 처리함으로써 쾌적한 도시·농촌지역의 환경조성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축산농장


 ○ 그간 지자체 및 생산자단체별로 자체적으로 축산농장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선정기준이 농장 외부개선 중심이고 선정 후 사후관리 미흡,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부재 

  - 단기성 사업으로 진행되어 중앙정부 차원에서 ‘깨끗한 축산농장지정사업’으로 일원화하여 효과성 제고 필요


  ⇒ “국민생각함” 운영을 통해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을 위한 다양한 대국민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정책 추진에 참고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총11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