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축산농장 조성방안
□ 국민들로부터 사랑받지 못하는 축산은 살아남을 수 없다는 위기감 속에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추진 대책’ 마련·발표(17.1월)
○ 냄새관리 등 국민들이 관심 있는 근본적인 축산환경 개선 필요
○ 동물복지와 가축위생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어 축사 청결 관리 등 축산농가의 사육 및 농장관리 방식 전환이 요구되고, 특히 농장주의 의식전환이 필요한 시점
□ 농식품부는 “깨끗한 축산환경 조성 추진대책”에 따라 ‘25년까지 깨끗한 축산농장 1만호 선정을 위한 세부추진계획 수립
* 연차별 지정 : (’17) 1,000호 → (’22) 5,000 → (’25) 10,000
○ 깨끗한 축산농장 개념 정립, 지정·평가지침 마련
☞ 깨끗한 축산농장이란 : 가축의 사양관리(사육밀도), 환경오염 방지, 주변경관과의 조화 등 축사 내·외부를 깨끗하게 관리하여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가축분뇨를 신속·적정하게 처리함으로써 쾌적한 도시·농촌지역의 환경조성과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이바지하는 축산농장
○ 그간 지자체 및 생산자단체별로 자체적으로 축산농장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선정기준이 농장 외부개선 중심이고 선정 후 사후관리 미흡,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부재
- 단기성 사업으로 진행되어 중앙정부 차원에서 ‘깨끗한 축산농장지정사업’으로 일원화하여 효과성 제고 필요
⇒ “국민생각함” 운영을 통해 깨끗한 축산농장 조성을 위한 다양한 대국민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정책 추진에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