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실현된 생각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7년 08월 07일 시작되어 총0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민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검역 협상 가속화 및 농식품 수출 확대
이 생각은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검역 지원 방안"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농식품부는 FTA 등 개방화 시대에 대응하여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정부 간 검역 협의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검역 협의를 통한 해외 신시장 개척은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바, 보다 적극적인 검역 협의를 위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성, 수출 유망성을 고려한 검역 협의 추진이 필요하며,
- 정부와 업계 간 긴밀한 협업(수출 성공 사례 및 전략  공유, 상대국 시장 정보 제공, 수출 관련 교육 실시, 수출 가이드북 마련 등) 을 통해 시장 개척 가속화 도모

 

현재 농식품부는 수출 지원을 위한 시장조사 및 민관 협의체 운영, 수출 가이드 북 제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aT에서 해외시장조사 지원, 연 1회 수출 수요조사 실시, 민관 수출검역지원 협의체 운영, 수출 검역 지침서 등 가이드북 제작 배포

 

그러나, 농식품 수출 확대에 기여하는, 업계의 눈높이에 맞는 효율적 검역 협의는 이러한 수출 지원 수단들이 유기적으로 조화되고,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긴밀하게 작동할 때 가능할 것입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국민생각함 실시 결과를 반영하여 정부에서 지원 중인 수출 관련 서비스 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수출 유망 품목에 집중하는 검역협의를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또한, 민관 협의체 등을 통해 수출 검역 관련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협업을 통해 시장 개척을 가속화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농식품 수출 및 검역 분야에 대하여 보내주신 의견과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0/1000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검역 지원 방안

정부는 FTA 등 개방화 시대에 대응, 넓어진 경제영토를 수출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검역장벽 해소를 위한 정부 간 협의를 추진 중입니다.
검역 협의를 통한 해외 신시장 개척은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바, 보다 적극적인 검역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성, 수출 유망성을 고려한 검역협의 추진 필요
- 정부와 업계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시장 개척 가속화

 

* 수렴된 의견을 종합해 보면, "민관 협업 강화를 통해 수출 유망 품목에 주력하는 선택과 집중의 검역협의 추진"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귀결됩니다. 현재 농식품부에서 지원 중인 수출 지원 서비스 또는 검역 협의 추진 체계를 들여다 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본 체계는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해외시장 조사 지원) aT에서 운영 중인 'KATI 농수산식품 수출지원정보-해외시장 맞춤조사'
※ 해외시장 진출을 준비하는 농식품 수출업체를 위해 현지의 구체적인 시장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
(수출 수요조사) 농식품부에서 수출업계 및 관계기관 등을 대상으로 검역 문제로 수출이 불가능하거나 새로이 수출을 희망하는 국가 및 품목 등에 대한 수요조사 실시(연 1회)
(민관 협력채널) 정부와 업계가 참여하는 '민관 수출검역지원 협의체' 및 '수출입 위험분석조정협의회' 등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검역협의 현황 공유 및 업계 애로사항 의견 수렴

 

그러나, 농식품 수출 확대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검역 협의는 이러한 수출 지원 수단들이 유기적으로 조화되고, 활발하게 활용될 때 가능할 것입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국민생각함 실시 결과를 반영하여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정부에서 지원 중인 수출 관련 서비스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수출 유망에 품목에 집중하는 검역 협의를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또한, 민관 협의체를 활발하게 개최하여 수출 검역 관련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협업을 통해 시장 개척을 가속화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상기 내용을 포함,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검역 지원 방안에 대하여 많은 의견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총1명 참여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검역 지원 방안

□ 배 경

 ○ 정부는 FTA 등 개방화 시대에 대응, 넓어진 경제영토를 수출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검역장벽 해소를 위한 정부 간 협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특히 농축산물에 경우, 상대국의 검역 요구가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여 수출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한 품목입니다.
  * 농식품부는 농식품 수출 확대를 위해 ’13년부터 ‘수출 검역협상’을 주요 정책과제로 설정하여 공격적 협의 추진 중

□ 농·축산물 수출 검역 협의 추진 현황
 ○ ’17.7월 현재 27개국 대상 203건에 대한 수출 검역협의 진행 중
  - 미국 심비디움·호접란, 중국 파프리카, 일본 열처리가금육, 인도네시아 유제품, EU 및 캐나다 삼계탕, 태국 및 UAE 쇠고기, 아르헨티나 배, 베트남 단감 등
  * 그간 주요 협의 결과 : ’14∼’17.7월까지 22개국 대상 45건 수출 검역협의 완료
  - 중국 쌀·삼계탕·포도·흰우유, 미국 삼계탕·한라봉·천혜향, 홍콩 쇠고기·닭고기· 돼지고기, 베트남 딸기·닭고기 등


□ 수출 검역 협의 추진 체계
 ○ (품목 발굴) 업계 등 이해당사자 대상 수요조사, 민관 협의회 등을 통해 시장성 있는 품목 발굴, 선택과 집중의 검역협의 추진
 ○ (전략 수립) 관계부처 및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주요 수출 품목에 대한 협상 전략 수립
  * 농수산식품 SPS 협의회(농식품부·해수부·식약처), 축산물 수출 검역지원 민관 협의회, 수출입 위험분석 조정 협의회 등 협력 채널 운영중
 ○ (협상 추진) 국제기준 등 과학적·기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부 간 협의를 진행하고,
  - 국제회의 및 양자 협의체, 고위급 면담, 상대국 검역관 초청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하여 공격적 협상 추진
 ○ (결과 환류) 정부 간 협의 결과는 업계 설명회, 보도자료, 수출 지침서 마련 등을 통해 신속하고 투명하게 알려 수출이 신속하게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해 검역 분야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

총4명 참여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