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10월 26일 시작되어 총6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국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방향은?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농촌진흥청님의 의견정리2018.12.11

'국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방향은' 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인사 드립니다.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구입시 '원료의 원산지' 는 어디서 재배된 원료가 가장 좋을까요 ? 질문에서


GAP 재배 국내산과 국내산(GAP아니어도 상관없음) 을 선택해주셔서

국내산원료에 대해서 선호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이유에 대해서는 원산지가 불분명 하다, 가짜 백수오 사태 등으로 기원이 불분명한 원료가 들어갔을 것이다., 화학농약이 기준치 이상 높게 검출될 것 같다. ,
기타 (기능성이 명확하지 않아서)  와 같이 여러 의견이 있었습니다..

특히, 기능성이 명확하지 않아서에 가장 많은 의견이 있었습니다..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다면 적절한 가격은 얼마일까요 ? 에 대한 질문에서는 15일분 기준 5만원 이하 가 가장 많았고

인삼, 약초, 버섯 중 신선편이 식품으로 개발되었으면 하는 작목은 

인삼,  복분자, 오미자 가 있었습니다..


국민 여러분의 의견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산업은 소비 트렌드 변화 및 생물자원 가치 상승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중입니다.


특히 인삼을 가공한 홍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실적 점유율은 기능성 식품시장 대비 11년 52.5%에서 13년 39.6%, 15년 38.1%를 차지하였으며 16년 기준 매출율은 52.4%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한중 FTA 발효 등으로 인한 시장개방 가속화에 따라 수입물량이 증대되고 기업 규모의 영세, 낮은 제품개발 성공률 등의 요인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가 대부분 수입산 원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불신 등으로 대외 경쟁력(가격, 품질)을 가진 국내산 식의약 소재 및 원료 개발 위한 기초연구 및 활용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설문조사를 통하여 인삼, 약초, 버섯의 소비 활성화와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다양한 의견과 아이디어를 반영하고자 하오니,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사용자업로드이미지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4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필수] 인삼, 약초, 버섯 중 신선편이 식품으로 개발되었으면 하는 작목은 ?
  • 질문2. [필수]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구입시 '원료의 원산지' 는 어디서 재배된 원료가 가장 좋을까요 ?
  • 질문3. [필수]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부족한 이유는 ?
  • 질문4. [필수] 인삼, 약초, 버섯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에 대하여 신뢰할 수 있다면 적절한 가격은 얼마일까요 ?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