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생각모음

생각의 발자취
[ 이 생각은 2018년 03월 20일 시작되어 총54명이 참여하였습니다. ]
이 생각은 "“그날을 부탁해” 국민디자인단 "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참여 의견을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박경석님의 의견정리2018.11.14

총 설문 참여인원은 51명으로 여자가 46명(90.2%), 남자가 5명(9.8%)이 참여해 주셨습니다. 생리, 생리통, 생리용품에 대한 인식은 98%가량 보통 혹은 잘 알고있다고 답했다. 알고있는 생리용품에 일회용 패드 생리대, 면생리대, 탐폰, 생리컵 등 다양한 제품들을 고루 알고있었다. 학교 내에 생리대박스 혹은 자판기설치에 대한 의견은 98%가 찬성했다. 또한 학생뿐만아니라 모든 여성들이 공중화장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의견도 74%를 차지했다. 생리대 박스 혹은 자판기가 설치된다 하더라도 급할때만 사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81%를 차지했다.

혹여 눈에 띌까 은밀하게 주고받던 물건, 공공장소에서 또렷한 목소리로 단어 하나를 온전히 발음하지 못하던 물건이 최근 높은 관심을 보인다. 생리대 가격 인상, 깔창 생리대 논란, 유해물질 검출 의혹 등 생리대 관련 사회 이슈들이 최근 2년간 우리 사회에 다양한 의미를 남기고 있다.

 

약국에서 생리대를 사도 검정비닐로 싸주는 배려, 한 달에 한 번 찾아오는 그 날엔 혹시 누가 볼까 봐 작은 가방에 넣어서 감추고 가야 했던 여성들의 고충을 우리는 그동안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리대는 왜 우리에게 터부로 다가오는 것인가? 우리 사회의 성을 바라보는 인식의 수준과 소외계층에 대한 무관심이 "깔창생리대 사건"으로 나타난 것은 아닐까?

 

우리는 초, 중, 고 여학생들에게 생리대를 지원하는 복지 사업에 대해 국민의 시각에서 더 나은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하려 한다.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더욱 건강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살 수 있도록 어른들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완료된 설문
현재 참여인원은 51명 입니다. 결과보기
  • 질문1. [필수] 학교 내에 생리대 박스 또는 생리대 자판기가 설치된다면 어떨 것 같나요?
  • 질문2. [필수] 당신의 성별은 무엇인가요?
  • 질문3. [필수] 생리(월경), 생리통, 생리용품에 대한 당신의 지식은 어느 정도 인가요?
  • 질문4. [필수] 당신이 알고 있는 생리용품을 모두 고르세요
  • 질문5. [필수] 공중화장실 생리대 자판기 설치에 대해 당신의 생각과 같은 문항을 하나만 골라주세요.
  • 질문6. (여학생만 답변) 생리대 박스 혹은 자판기가 설치된다면, 나는 ( 이럴 것이다. )
  • 질문7. (여학생만 답변) 예측한 날에 생리를 시작했을 때 나의 기분은?
  • 질문8. (여학생만 답변) 내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생리용품은? (복수선택 가능)
  • 질문9. (여학생만 답변) 현재는 아니지만, 앞으로 사용하고 싶은 생리용품은?
0/1000
목록
제일 상단으로 이동
x

국민생각함
자동 로그아웃 안내

남은시간 60

로그인 후 약 120분 동안 서비스 이용이 없어 자동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 연장을 원하시면 연장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